본문 바로가기

경영과 세상살이620

아무리 배가 고파도 오훼(烏喙)는 먹지 마라 아무리 배가 고파도 오훼(烏喙)는 먹지 마라! 기이불식오훼(飢而不食烏喙) 아무리 배가 고파도 오훼(烏喙)를 먹어서는 안된다. 그것으로 배를 채우면 채울수록 굶어죽는 것과 다름 없는 고통을 겪기 때문이다. (飢而不食烏喙者爲其愈充腹 而與餓死同患也) _ 列國志 ** 오훼(烏喙)는 '까마귀 부리'라는 뜻으로, 까마귀의 부리나 머리처럼 생긴 오두(烏頭) 혹은 초오(草烏)라는 식물의 뿌리를 가리킨다. 요동(遼東)의 변방에서 이것의 즙을 사냥에 쓰기도 하는 일종의 독약이기도 하고, 두통, 반신불수, 구안와사 등의 치료에 쓰이기도 하였다고 한다. 이 '오훼(烏喙)'라는 단어는 사람의 관상을 가리킬 때도 쓰인다. 목이 길고 입이 까마귀처럼 튀어나온 사람을 '장경오훼(長頸烏喙)형 인간'이라고 한다. 만화 캐릭터 심슨(Si.. 2021. 6. 9.
"내가 가장 많이 훔친 상대는 나 자신이오." 전설의 도둑 아더 베리(Arthur Berry) 아더 베리는 1920년대 미국을 떠들썩하게 했던 세계적인 보석도둑이다. 그는 마음만 먹으면 무엇이든 훔칠 수 있는 탁월한 지능과 기술을 가지고, 심지어는 경찰까지도 그를 존경할 정도였다. 그는 오직 보석만을 훔쳤고, 특히 부자나 사회적으로 저명한 사람들만을 대상으로 도둑질을 하였기에, '신사 도둑'이라 불렸다. 그래서 그에게 도둑맞았다는 것은 피해자의 사회적 지위를 증명하는 것으로 여겨졌다. 그는 보석 카탈로그와 가십 칼럼을 철저히 공부하고, 파티에 참석하기도 하고, 부자집의 구조에 대해 깊이 연구하였다. 유명한 것 중에는, 웨일즈 왕자가 가진 왕실 보석을 훔친 일과 록펠러 저택을 침입한 일화가 있다. 특히 록펠러 저택에는 잘 훈련된 사나운 개가 두 마리 .. 2021. 6. 9.
메디슨 카운티의 다리 _ 바이런과 예이츠의 시 ** _ 바이런(로버트가 보내온 사진집 첫장에 실린 바이런의 시)길 없는 숲에 기쁨이 있고,외로운 바닷가에 황홀함이 있고,아무도 들어가지 않는 그곳에 사귐이 있고,깊은 바다 곁 그 함성 속에 음악이 있으니,나는 사람을 덜 사랑하기보다 자연을 더 사랑하리라.이런 우리의 만남들은현재나 과거의 나로부터 슬며시 물러나저 우주와 어우려져감히 표현할 수는 없지만 온전히 숨길 수도 없는 그것을 느끼게 한다.There is a pleasure in the pathless woods,There is a rapture on the lonely shore,There is society, where none intrudes,By the deep sea, and music in its roar:I love not man th.. 2021. 5. 30.
맹자의 교육법과 인이불발(引而不發) 맹자의 교육법 _ 맹자 진심 상(孟子 盡心 上) 맹자가 말하였다. “군자가 가르치는 방법은 다섯 가지가 있다. 때 맞은 비가 감화시키듯 하고(時雨), 덕을 이루게 하고(成德), 재능을 최대한 이끌어내고(達財), 물음에 답하고(答問), 스스로 맑게 다듬도록 하는 것(私淑)이다. 孟子曰, “君子之所以敎者五, 有如時雨化之者, 有成德者, 有達財者, 有答問者, 有私淑艾者. 此五者, 君子之所以敎也.“ 공손추가 말하였다. “도가 높고 아름다워 꼭 마치 하늘을 오르는 것과 같아 이를 수 없을 듯합니다. 어찌하여 저들이 이를 수 있도록 힘써 돕지 않으십니까?” 公孫丑曰, “道則高矣美矣, 宜若似登天然, 似不可及也. 何不使彼爲可幾及而日孶孶也?” 맹자가 말하였다. “뛰어난 목수는 서툰 목수를 위해 먹줄을 고치거나 폐하지 않고.. 2021. 5. 15.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