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영과 세상살이620

신은 착한 사람, 바른 사람, 강한 사람만을 시험한다. 신은 착한 사람, 바른 사람, 강한 사람만을 시험한다.** 탈무드​에 나오는 말씀들.​"도공은 이미 망가진 그릇을 손가락으로 두드려 시험해 보지 않는다.그러나 잘 만들어진 그릇은 이리저리 두드리면서 시험해 본다."이처럼 신은 이미 잘못된 악한은 시험하지 않고,바르게 살아가는 선인만을 시험한다.​"자기가 팔고 있는 베가 좋다고 생각하는 삼베 장사는그 삼베를 계속 다듬이질하여 윤기를 낼 것이다.그러나 자기 베의 품질이 나쁘다면 그러지 않을 것이다.​두들겨봐야 곧 헤져버리기 때문이다."이처럼 신도 바르게 사는 인간만을 골라 시험한다.​"튼튼한 소와 병약한 소 두 마리를 가진 농부가 있다면,그 농부는 건강한 소에게 쟁기를 채울 것이다.이처럼 신은 건강하고 바르게 사는 자에게 무거운 짐을 지게 한다."** 출처 .. 2021. 5. 15.
의사 결정, 'Cheetah Pause'(치타 멈춤)를 하라! 의사 결정, 'Cheetah Pause'(치타 멈춤)를 하라! ** 치타는 무조건 빨리 달리기 때문에 사냥을 잘 하는 것이 아니다. 그 엄청난 사냥 기술은 '가속 능력' 때문이 아니리, 오히려 그의 '감속 능력'에 있다. 치타는 단 몇 초만에 시속 100km의 속도를 낼 수 있지만, 반면에 단 한 걸음만에 시속 15km로 감속할 수 있다. 그러한 감속 능력 덕분에, 급 선회하거나 옆으로 점프하는 등 신속한 방향 전환이 가능하다. 의사 결정을 할 때에도 마찬가지이다. 양질의 사고를 하기 위해서는 의도적으로 속도를 줄이는 능력이 필요하다. 이러한 계산된 일시 멈춤의 시간 동안에, 편견이 없는지 살피며 문제를 제기하고, 정보와 지식을 취합하고, 다른 사람들의 의견을 모을 수 있다. 그리하여, 새로운 방향으로 .. 2021. 5. 8.
수레를 말에 앞세워라 _ 車在馬前(거재마전) 수레를 말에 앞세워라 車在馬前(거재마전) 좋은 대장장이의 아들은 반드시 갖옷 만들기를 배우고, 뛰어난 활장이의 아들은 반드시 키(箕) 만들기를 배운다. 말에게 처음 멍에를 씌워 수레를 끌게 하려면 오히려 수레를 말 앞에 세워야 한다. 군자는 이 세 가지를 살펴야 배움에 뜻을 갖게 할 수 있다 良冶之子 必學為裘(양야지자 필학위구) 良弓之子 必學為箕(양궁지자 필학위기) 始駕者反之 車在馬前(시가자반지 거재마전) 君子察於此三者 可以有志於學矣(군자찰어차삼자 기이유지어학의) _ 禮記(예기) 學記(학기) 편 ** 모든 배움은 앞선 누군가가 하는 행위로부터 모방하는 것에서 시작하는 것이다. 대장장이가 쇠 다루어 형상을 잡는 모습은 가죽을 다루는 것과 다르지 않으니, 대장장이의 아들은 갖옷 만들기를 먼저 배우게 된다. .. 2021. 4. 23.
한로와 동곽 한로와 동곽(韓盧東郭) 한자로(韓子盧)는 천하의 가장 빠른 개이고 동곽준(東郭逡)은 나라 안에서 가장 꾀 많은 토끼이다. 한자로가 동곽준을 쫓아 달렸다. 산기슭을 세 바퀴나 돌고 산꼭대기를 다섯 번이나 올랐다. 토끼는 앞에서 힘을 다하였고, 개는 뒤에서 지쳐 쓰러졌다. 결국 개와 토끼는 더이상 달리지 못하고, 각자 그 자리에서 죽고 말았다. 어떤 농부가 이들을 발견하여 힘들이지 않고 횡재를 하게 되었다 韓子盧者 天下之疾犬也. 東郭逡者 海內之狡兎也. 韓子盧逐東郭逡 環山者三 騰山者五. 兎極於前 犬廢於後 犬兎俱罷. 各死其處 田父見之 無勞倦之苦 而擅其功. _ ** 이 고사는 농부의 횡재라는 뜻으로 '田父之功(전부지공)', 혹은 개와 토끼의 싸움이라는 뜻으로 '犬兎之爭(견토지쟁)' 으로 불리기도 한다. ** 엉뚱.. 2021. 4. 15.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