學而262 르네 지라르의 '모방 이론(Mimetic Theory)' 비철학자를 위한 르네 지라르의 '모방 이론(Mimetic Theory)'(* 르네 지라르의 '모방 이론(Mimetic Theory)'을 쉽게 잘 설명한 Simon Boehm의 블로그 글 "René Girard & Mimetic Theory for Non-Philosophers"를 번역하여 정리하였다.)**'모방 이론(Mimetic Theory)'은 단순하지만 굉장히 강력한 개념이다.이 이론은 인간이 어떻게 배우는지, 법이 왜 필요한지, 왜 그렇게 많은 사람들이 금융업에 끌리는지를 설명해준다.이 개념은 프랑스 철학자이자 아카데미 프랑세즈(Académie Française)의 회원이었고, 스탠퍼드 대학교 교수였던 '르네 지라르(René Girard)'가 제안했다.최근 몇 년간, 지라르의 연구와는 별도로 모방.. 2025. 6. 15. 도움 요청 능력과 문화는 신뢰와 용기의 리더십에서 나온다 도움 요청 능력과 문화는 신뢰와 용기의 리더십에서 나온다 **도움을 요청하는 용기의 힘우리는 남에게 도움을 요청하면 자신의 '약점'을 드러내거나 '자존심'을 손상하는 것으로 여기는 문화 속에서 살아왔다. 그러나 현대의 복잡하고 불확실한 환경에서 개인이나 조직이 성공하기 위해서는 남의 도움이 불가피하다. 그래서 성공 능력은 곧 '도움 요청 능력'의 탁월함과 연결된다.이제 도움을 요청하는 행위는 더 이상 약점이 아니다. 오히려 강력한 리더십과 혁신의 열쇠가 되고 있다.브레네 브라운의 연구는, 도움이 필요하다는 것을 인정하고, 타인에게 자신의 취약점을 보여주는 것이 신뢰와 협력을 구축하는 핵심이 된다고 강조한다. 도움을 요청하는 과정에서 자신의 한계를 명확히 인지하고 또 그것을 인정함으로써, 개인은 성장을 경.. 2025. 6. 14. <방황한다 하여 모두 다들 길을 잃은 것은 아니다> _ 반지의 제왕 중 “아라곤의 노래(Song of Aragorn)” 금이라 하여 모두 반짝이지 않고방황한다 하여 모두 다들 길을 잃은 것은 아니라네오래되었더라도 진정 강한 것은 시들지 않고깊은 내린 뿌리에는 서리도 닿지 않는다네잿더미 속에서도 불이 다시 일어나고그림자 속에서 빛이 솟아오르니부러진 검은 다시 새로워지고,왕관 없는 이가 다시 왕에 오르게 되리라All that is gold does not glitter,Not all those who wander are lost;The old that is strong does not wither,Deep roots are not reached by the frost.From the ashes a fire shall be woken,A light fro.. 2025. 6. 14. 직구보다 변화구에서 홈런이 더 많이 나온다 직구보다 변화구에서 홈런이 더 많이 나온다 직구보다 변화구에서 왜 더 홈런이 많이 나오는지 아세요? 치기는 어렵지만 치기만 한다면 더 많은 회전이 담긴 변화구가 더 많은 힘을 받고 더 멀리 날아가기 때문입니다. 지금 내 앞에 남들보다 더 어려운 변화구가 날아오고 있습니까? 축하드립니다. 당신에게 홈런을 칠 수 있는 멋진 기회가 주어졌군요._ 류현진**변화구는 직구보다 속도가 느리고 꺾임과 회전이 많아, 타자의 타이밍과 스윙 궤적을 흔들어 놓기 때문에 맞히기가 어렵다. 하지만 일단 맞히기만 하면 공에 더 많은 회전과 힘이 실려 멀리 날아갈 가능성이 높다.물리학적으로도 변화구(예: 커브, 슬라이더)는 회전으로 인해 마그누스 효과가 발생해 공에 양력이 생기며, 이로 인해 타구에.. 2025. 6. 13. 이전 1 2 3 4 ··· 66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