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영과 세상살이620

권모(券十三 權謀)_설원(說苑) _ 유향(劉向) ** 역문은 동양고전DB에서 가져옴. ** 權謀는 때와 상황에 따라 應變하는 책략을 말한다. 本篇에서 말하는 권모는 陰謀와 譎計가 아닌 규범에 부합하는 책략을 말한다. 본편에서 제시한 권모의 事例는 모두 君子의 권모로서 정당성이 있는 책략이고, 小人의 邪惡한 책략이 아니다. 劉向은 권모의 중요성으로 亂世에는 자신을 해롭게 하지 않고, 太平時代에는 천하의 권력을 얻을 수 있음을 말하였다. 또한 가장 으뜸의 권모는 天命을 아는 것이고 次善의 권모는 일의 결과를 미리 아는 것이라 하였다. 이런 으뜸의 권모와 차선의 권모에 해당하는 사례를 열거하여 자신의 주장을 증명하였다. 1. 謀有二端:上謀知命,其次知事 聖王之舉事,必先諦之於謀慮,而後考之於蓍龜。白屋之士,皆關其謀;芻蕘之役,咸盡其心。故萬舉而無遺籌失策。傳曰:「眾人之.. 2022. 8. 6.
봉사(券十二 奉使)_설원(說苑) _ 유향(劉向) ** 역문은 동양고전DB에서 가져옴. ** 奉使는 임금의 명을 받아 외국에 出使하여 원만하게 使命을 완수한 일을 蒐輯한 篇이다. 外交 使節의 가장 중요한 임무는 국가의 이익을 무엇보다 먼저 고려해야 한다는 점이다. 국가에 이익이 되고, 君主에 이익이 되는 방향으로 외교를 펼치되 외교 현안에 대한 應變은 전적으로 사신이 결정하여 민첩하게 대처해야 하는 事例를 보이고 있다. 사신은 죽을 수 있는 위험에 처할 수도 있고, 또는 견디기 어려운 치욕을 당할 때도 있다. 이를 극복하고 임무를 완수하기 위해서는 죽음을 집에 돌아가는 것처럼 여기는 늠름한 용기와 굴욕을 참아내는 강인한 의지를 갖춰야 할 德目으로 제시하고 있다. 本篇에 제시한 외교의 중요한 방법은, 외교에 관한 禮節을 중시할 것, 상대의 短點을 거론하지.. 2022. 8. 6.
선설(券十一 善說)_설원(說苑) _ 유향(劉向) ** 역문은 동양고전DB에서 가져옴. ** 이 篇은 말로 자신의 생각과 감정을 잘 표현하여 남을 설득시키고 목적을 이룬 事例들을 모아 編成하였다. 談論을 잘하는 방법으로 荀子의 주장을 들어 다음과 같이 제시하고 있다. 첫째 태도를 엄숙히 하여 자기의 말이 진실임을 믿도록 할 것, 둘째 말을 정직하고 정성스럽게 하여 과장하거나 축소하거나 숨기지 말고 진실되게 할 것, 셋째 자신의 觀點을 굳게 지켜 목적한 바를 달성하지 않으면 중지하지 말 것, 넷째 比喩法을 잘 활용하여 상대방의 말을 받아들이고 허락하지 않을 수 없도록 만들 것, 다섯째 對比法으로 사리를 분석하여 정반대의 논리를 세워서 이해시킬 것, 여섯째 상대방의 감정을 자극하여 기쁘게 하거나 분노하게 하여 설득할 것 등이다. 이상과 같은 여러 가지 방법.. 2022. 8. 5.
살레카나 단식사_ 현자의 죽음 (* 페이스북 석현장님의 글)단식을 통해 거룩한 죽음을 맞이하는 사람들이 있다.인도의 자이나교는 불교와 동시대에 생겨난 종교이다. 자이나교에서는 깨달음을 얻은 스승을 지나라고부른다. 승리자라는 뜻이다. 자이나교의 교주 마하비라는 위대한 승리자라는 뜻이며 대웅전(大雄殿), 대웅의 원어이기도 하다. 자이나교 수행자는 철저한 무소유로 살아간다. 옷도 입지 않고 알몸으로 살아간다. 알몸을그들은 하늘옷이라고 부른다.그리고 그들은 죽음이 가까이 왔다고 느끼면 단식에 들어간다.단식으로 자신의 육신과 떠나는 순간을 투명한 의식으로 지켜본다. 단식으로 육신을 떠나는 수행을 살레카나라고 한다. 단식으로 육체를 축소시키고 욕망과 사악한 번뇌를 소멸시켜 영혼의 자유를 얻는다는 뜻이다. 인도 자이나교에서는 1년이면 300명~4.. 2022. 8. 5.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