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영과 세상살이620 배꼽을 물어뜯으려 하나 닿지 않는다(서제막급噬臍莫及) 배꼽을 물어뜯으려 하나 닿지 않는다(서제막급噬臍莫及) * 서제막급(噬臍莫及) 사향노루가 사람들에게 붙잡혔다. 사람들이 노린 이유가 자신의 배꼽에서 나는 값비싼 사향 때문임을 알았다. 그래서 자신의 배꼽을 탓하며 물어뜯으려 한다. 그러나 입이 닿지 않아 물어뜯을 수도 없다. 이처럼 일이 완전히 그릇된 뒤에 그 원인을 알아채거나 혹은 없애려 해도 아무 소용이 없음을 비유한 말이다. 후회막급(後悔莫及)과 같은 말이다. (噬 씹을 서, 臍 배꼽 제) ** 출처 楚文王伐申,過鄧。鄧祁侯曰:「吾甥也。」止而享之。騅甥、聃甥、養甥請殺楚子,鄧侯弗許。三甥曰:「亡鄧國者,必此人也。若不早圖,後君噬齊。其及圖之乎?圖之,此為時矣。」鄧侯曰:「人將不食吾餘。」對曰:「若不從三臣,抑社稷實不血食,而君焉取餘?」弗從。還年,楚子伐鄧。十六年,楚複伐鄧,滅.. 2022. 8. 7. 반질(券二十 反質)_설원(說苑) _ 유향(劉向) 반질(券二十 反質)_설원(說苑) _ 유향(劉向) ** 역문은 동양고전DB에서 가져옴. ** 이 篇은 人爲的인 奢侈와 虛飾을 버리고 事物의 本質을 지켜야 함을 일깨우는 내용으로 편성하였다. 먼저 本質이 넉넉한 것은 꾸미는 것을 수용하지 않는다는 것을 인용하고, 鬼神을 믿기보다는 道德을 믿는 것이 낫다는 점을 강조하였다. 다음으로 여기에 부합하는 사례들을 제시하여 質朴한 삶으로 돌아가는 것이 중요함을 증명하였다. 機智가 있으면 기지 때문에 실패한다는 道家의 觀點을 내세워 機巧을 반대하였고, 화려한 衣服, 高大한 宮室, 과도한 奢侈를 경계하였다. 秦 始皇이 사치한 생활을 추구하다가 결국 나라를 멸망시킨 일을 敎訓으로 삼아 옛 明君이 음식은 배가 부르면 족하고, 옷은 몸에 따뜻하면 족하며, 궁실은 거처할 정도면.. 2022. 8. 7. 수문(券十九 修文)_설원(說苑) _ 유향(劉向) 수문(券十九 修文)_설원(說苑) _ 유향(劉向) ** 역문은 동양고전DB에서 가져옴. ** 이 篇은 禮樂과 制度를 修治하여 文治를 强化하는 데 重點을 두고 있다. 앞에서는 禮와 樂을 기술하여 王業의 功을 이루면 禮를 制定하고 정치가 안정되면 樂을 만드는 意義를 제출하여 禮樂으로 나라를 다스리고 敎化를 펼치는 예악사상을 闡明하였다. 德과 예악의 관계를 논하여 덕이 지극하지 않으면 예악을 할 수가 없음을 말하여 德政의 기본이 예악에 있음을 밝혔다. 그리하여 군자가 예가 없으면 바로 庶人이고, 서인이 예가 없으면 바로 禽獸라 하여 예가 없이는 나라를 다스릴 수 없음을 드러내었다. 예의 구체적 내용과 응용, 言行擧止와 용모, 복장 등을 제시하고, 冠禮의 중요성과 婚姻의 禮, 帝王의 寢殿의 禮, 饋贈의 禮 등을 .. 2022. 8. 7. 변물(券十八 辨物)_설원(說苑) _ 유향(劉向) 변물(券十八 辨物)_설원(說苑) _ 유향(劉向) ** 역문은 동양고전DB에서 가져옴. ** 일상생활 중에 하늘과 땅이나 사람의 일에서 일어나는 괴이한 현상을 정확히 구별하여 판단한 事例들을 모아 編述한 篇이다. 앞에는 하늘과 땅에서 일어나는 自然界의 현상을 합리적으로 해설하여 古代 賢聖의 哲學的 觀念을 드러내 보이고 있다. 그러고는 사람이 일생 동안 성장하는 規律과 度量衡의 標準을 제시하였다. 다음으로 四靈獸의 德을 칭송하여 聖君의 盛德을 表現하고, 神靈이 降臨한 現象을 합리적으로 해설하였으며, 君主가 괴이한 현상을 만났을 적에 孔子에게 가르침을 청하여 의혹을 해소한 일들을 보였다. 끝으로 꿈에 대한 解夢으로 꿈과 현실 생활과의 관계를 해명하려 하였고, 晉 平公의 어리석음 등을 보여주고 있다. 1. 成人.. 2022. 8. 7. 이전 1 ··· 8 9 10 11 12 13 14 ··· 155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