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영과 세상살이/지혜로운삶225

친구를 사귀는 도리 _맹자 [敢問友] 친구를 사귀는 도리 _ 孟子 [敢問友] 친구를 사귈 때에는 첫째, 나이를 따지지 말라(不挾長).둘째, 귀천을 따지지 말라(不挾貴).셋째, 배경을 따지지 말라(不挾兄弟). ~~~~~~~~~~~~~~~~~~~~~~~~~~~~~~~~~~~~~~~孟子 萬章下 [敢問友]萬章問曰 敢問友(만장문왈 감문우) 만장이 '감히 벗을 사귀는 도리에 대해 여쭙겠습니다' 하니,孟子曰 맹자가 말씀하시길不挾長(불협장) 나이를 따지지 말고(나이 고하를 개입시키지 말고)不挾貴(불협귀) 귀천을 따지지 말고(신분이나 직위의 귀천을 개입시키지 말고)不挾兄弟(불협형제) 배경을 따지지 말고(형제나 가문의 권세나 영향을 개입시키지 말고)而友(이우) 벗을 사귀어야 한다. 友也者 友其德也(우야자 우기덕야) 벗이라고 하는 것은 그 덕을 사귀는 것이니不.. 2017. 1. 27.
정치(경영)를 잘하는 법 _ 5미덕(五美)와 4악덕(四惡) 정치(경영)를 잘하는 법 _ 5미덕(五美)와 4악덕(四惡) 5미덕을 따르고 4악덕을 멀리하라! 군자(경영자)의 5미덕 1. 베풀되 낭비하지 않도록 하라 惠而不費(혜이불비) 2. 부리되 원망을 사지 않도록 하라 勞而不怨(노이불원) 3. 추구하되 탐하지 않도록 하라 欲而不貪(욕이불탐) 4. 너그럽되 교만하지 않도록 하라 泰而不驕(태이불교) 5. 위엄 있으되 사납지 않도록 하라 威而不猛(위이불맹) 군자(경영자)의 4악덕 1. 가르치지도 않고 엄벌하는 것 不敎而殺謂之虐 2. 미리 계고하지 않고 일의 결과만 보는 것 不戒視成謂之暴 3. 지시를 늦게 해놓고 기한을 독촉하는 것 慢令致期謂之賊 4. 어차피 주어야 할 것의 지출이 인색한 것 猶之與人也 出納之吝 謂之有司 ~~~~~~~~~~~~~~~~~~~~~~~~~~~~.. 2017. 1. 26.
모자가 너무 크면 앞을 제대로 볼 수가 없다 모자가 너무 크면 앞을 제대로 볼 수가 없다 썰전에서 유시민이가 한 말입니다. 감투가 격에 맞지 않으면 상황을 제대로 보고 판단하거나 앞으로 나아갈 수 없다는 뜻이겠지요. 감투에 너무 매몰되어있어도 마찬가지일 겁니다. 모자는 자기 머리에 맞는 걸 쓰도록 합시다. ^^.. 감투를 즐기는 분들은 이 멋진 격언도 기억하셔야겠습니다. "왕관을 쓰고 싶으면 왕관의 무게를 견딜 수 있어야 한다." 직책에 걸맞는 책임을 강조한 말입니다. 대야를 머리에 인 채 하늘을 본다(대분망천 戴盆望天)라는 말이 있습니다. 대야를 머리에 이면 하늘을 바라볼 수 없고, 하늘을 바라보면 대야를 일 수 없다는 뜻으로, 한 번에 두가지 일을 할 수 없으니 부득이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집중할 수밖에 없는 상황을 의미합니다. 사기(史記)의 .. 2017. 1. 13.
상아젓가락이 나라를 망친다 _ 상저옥배(象著玉杯) 상아젓가락이 나라를 망친다 _ 상저옥배(象著玉杯) 상아 젓가락과 옥 술잔 옛날 은(殷)나라의 주(紂)왕이 상아로 젓가락을 만들게 하였다. 이에 주왕의 숙부인 기자(箕子)가 나라의 운명을 걱정하며 말했다. “상아젓가락을 질그릇에 얹어 쓸 수는 없습니다. 반드시 뿔이나 옥으로 만든 잔을 쓰게 될 것이고, 상아젓가락과 옥잔에는 콩국이나 콩잎은 어울리지 않으니, 쇠고기, 코끼리 고기 혹은 표범의 태를 담아 먹게 될 것입니다. 그런 귀한 음식을 먹을 때 베옷과 모옥은 어울리지 않을 것입니다. 그래서 비단옷을 입고 구중의 고대광실을 짓게 될 것입니다. 나는 그 결말이 무서워 이 시초를 두려워하는 것입니다." 아니나 다를까, 5년이 지난 후, 주왕은 고기밭과 포락(砲烙)을 만들고, 술찌게미 언덕을 오르며 주지(酒池).. 2016. 10. 3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