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영과 세상살이/지혜로운삶225 대장부(大丈夫) _ 맹자 대장부(大丈夫) - 孟子(맹자) 제3편 滕文公下(등문공하) 居天下之廣居(거천하지광거) 천하의 넓은 집(廣居 : 仁)에 거하고, 立天下之正位(입천하지정위) 천하의 바른 곳(正位 : 禮)에 서며, 行天下之大道(행천하지대도) 천하의 큰 길(大道 : 義)를 걷는다. 得志 與民由之(득지 여민유지) 뜻을 얻으면(세상이 나를 알아주면) 그 뜻으로 세상 사람들과 함께 하고 不得志 獨行其道(부득지 독행기도) 뜻을 얻지 못하면(세상이 알아주지 않으면) 홀로 그 길을 간다. 富貴 不能淫(부귀 불능음) 부귀가 방탕하게 하지 못하고 貧賤 不能移(빈천 불능이) 빈천도 변하게 하지 못하며 威武 不能屈(위무 불능굴) 위세나 무력도 굴복시키지 못하니 此之謂大丈夫(차지위대장부) 그러한 사람을 일러 대장부라 한다. 2014. 11. 16. 인생삼불행(人生三不幸) 인생삼불행(人生三不幸) _ 정이(程頤) 인생에 있어서 세 가지 불행 - 어린 나이의 출세(소년등과 少年登科) - 부모 형제의 세력으로 얻은 지위(席父兄弟之勢) - 뛰어난 재능에다 우수한 문장력(有高才 能文章) 송나라 학자 정이(程頤)의 가르침이다. 이들 세 가지 사항은 현대 인간이라면 누구나가 바라는 것들이다. 이 불행(?)들을 잡거나 유지할 수 있다면 요즘 부모들은 영혼이라도 거침없이 팔려 들 것이다. 그러니 이들이 인생의 불행이라고 하니 매우 역설적이다. 하지만, 조금만 생각해보면 정이 선생의 깊은 가르침을 깨달을 수 있다. 빠른 출세, 물려받은 재산이나 권세, 뛰어난 재능은 한 인간에게 있어 대단한 행운의 겉모습이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그 속 모습이 교만과 안일 등과 같은 부정적인 인격적 요소로 채.. 2014. 11. 9. 敧器(기울어지는 그릇) 가득차면 엎어지거나 깨지게 된다. 敧器以滿覆(기기이만복) 撲滿以空全(박만이공전) 故君子(고군자) 寧居無不居有(녕거무불거유) 寧處缺不處完(녕처결불처완) 기기(敧器)는 가득 차면 뒤집어지고, 박만(撲滿)은 차지 않아야만 온전히 유지된다. 그래서 군자는 많이 가지지 않고 없이 사는 것을 편히 여겨야 하고, 넉넉한 곳보다는 부족한 곳을 편히여겨야 한다. _ 채근담 ** 기기(敧器)는 周代에 임금을 경계하기 위해 만든 그릇으로, 물이 비면 기울고 차면 뒤집어지며 알맞게 담기면 반듯이 놓인다(虛則欹 中則正 滿則覆(허즉의 중즉정 만즉복). 이 기기(敧器)는 유좌(宥坐) 혹은 유좌지기(宥坐之器)라고도 불린다. 유(宥)는 오른쪽을 가리키는 말로, 곁에 두고 자신을 경계하는 데 쓰는 그릇이란 의미. '순자(荀子'의 유좌편.. 2014. 10. 4. 죽기 전 아이들에게 꼭 해주어야 할 말 5가지 죽기 전 자녀에게 꼭 해주어야 할 말 5가지 (5 Things You Must Tell Your Kids Before You Die)1. You gave my life so much meaning. Thank you.넌 내 인생에 정말 큰 의미를 가져다 주었단다. 고맙다. 2. I’m so proud of you난 네가 너무도 자랑스럽다. 3. You we’re right, I was wrong.그 때 니가 옳았었어. 내가 잘못했던 거야. 4. This was my favorite moment그 순간이 난 가장 좋았어. 5. I’m Sorry미안해. 출처 : http://dalepartridge.com/before-you-die/ 2014. 3. 23. 이전 1 ··· 48 49 50 51 52 53 54 ··· 57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