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1421

담총(券十六 談叢)_설원(說苑) _ 유향(劉向) 담총(券十六 談叢)_설원(說苑) _ 유향(劉向) ** 역문은 동양고전DB에서 가져옴. ** 이 篇은 前篇의 記事 위주에서 記言 위주로 바꾸어 格言을 모아놓았다. 이 〈談叢〉 이전에는 일찍이 이와 같은 格言이나 名人의 名言을 채록해 엮은 書物이 없었다. 여기 선보이는 말들은 治國과 修身에 관한 名言에 重點을 두어 儒家의 學術을 宣揚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談叢〉에서 選集한 名言들은 주로 先秦과 秦漢時代의 많은 著作에 本源을 두고 있다. 이로써 《大戴禮記》, 《六韜》, 《淮南子》, 《呂氏春秋》, 《文子》, 《史記》, 《國語》, 《荀子》, 《老子》, 《周易》, 《論衡》, 《管子》, 《韓非子》, 《孟子》, 《論語》, 《莊子》, 《孔子家語》, 《列子》, 《韓詩外傳》, 《漢書》, 《禮記》 등의 광대한 典籍을 두루.. 2022. 8. 7.
지무(券十五 指武)_설원(說苑) _ 유향(劉向) 지무(券十五 指武)_설원(說苑) _ 유향(劉向) ** 역문은 동양고전DB에서 가져옴. ** 이 篇은 儒家의 戰爭觀과 이를 輯編한 劉向의 戰爭思想을 잘 표현하고 있다. 이런 관점에서 ‘전쟁을 좋아하면 반드시 멸망하고, 전쟁을 잊으면 반드시 위험해진다.’는 두 개의 명제를 근본으로 編述하였다. 전쟁에서의 승리와 패배의 결과를 부르는 중요한 要素를 例事를 통하여 보이고 있다. 예를 들면, ‘① 국토가 넓고 인구가 많으며, 견고한 갑옷과 날카로운 무기가 있고, 용맹한 장수가 있어도 군사들이 친근히 따르지 않으면 승리할 수 없다. ② 內治를 잘하지 못하면 國外의 일을 바르게 할 수 없고 근본적인 은혜가 미치지 않으면 지엽적인 일을 할 수 없다. ③ 전투를 할 때는 자신의 몸과 집 등의 일체를 잊고 전투에 매진하면.. 2022. 8. 6.
지공(券十四 至公)_설원(說苑) _ 유향(劉向) 지공(券十四 至公)_설원(說苑) _ 유향(劉向) ** 역문은 동양고전DB에서 가져옴. ** 本篇은 天下를 다스리는 핵심적인 思想은 至公無私에 있음을 闡明하여 그 중요함을 제시하였다. 역사상 至公思想을 가장 잘 체현한 帝王으로 堯‧舜을 들어 總論에 해당하는 제1장에 배열하였다. 요‧순 이외의 신하로서 至公의 모범이 된 사람은 伊尹과 呂尙을 들었다. 다음에는 季札‧太王‧周公이 행한 至公의 사례를 열거하여 至公의 典範을 보였다. 그런 다음 요‧순과 반대되는 秦 始皇‧齊 景公‧楚 共王 등의 사례를 들어 요‧순의 至公을 부각시키고 있다. 중간에는 孔子의 至公思想을 연이어 3장에 칭송하여 仁聖의 大德을 지녔으면서도 난세에 태어나 용납받지 못한 아쉬움을 드러내었다. 그 이후에는 一心爲國한 申包胥의 至公, 賢明한 人才.. 2022. 8. 6.
권모(券十三 權謀)_설원(說苑) _ 유향(劉向) ** 역문은 동양고전DB에서 가져옴. ** 權謀는 때와 상황에 따라 應變하는 책략을 말한다. 本篇에서 말하는 권모는 陰謀와 譎計가 아닌 규범에 부합하는 책략을 말한다. 본편에서 제시한 권모의 事例는 모두 君子의 권모로서 정당성이 있는 책략이고, 小人의 邪惡한 책략이 아니다. 劉向은 권모의 중요성으로 亂世에는 자신을 해롭게 하지 않고, 太平時代에는 천하의 권력을 얻을 수 있음을 말하였다. 또한 가장 으뜸의 권모는 天命을 아는 것이고 次善의 권모는 일의 결과를 미리 아는 것이라 하였다. 이런 으뜸의 권모와 차선의 권모에 해당하는 사례를 열거하여 자신의 주장을 증명하였다. 1. 謀有二端:上謀知命,其次知事 聖王之舉事,必先諦之於謀慮,而後考之於蓍龜。白屋之士,皆關其謀;芻蕘之役,咸盡其心。故萬舉而無遺籌失策。傳曰:「眾人之.. 2022. 8. 6.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