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영과 세상살이620

믿음에 대해(足食, 足兵, 民信) 자공이 정치에 대해 묻자,공자는, “식량을 풍족하게 하고, 군사력을 충분히 갖추고, 백성들의 믿음을 얻는 것이다”하였다.자공이 “부득이 하나를 버려야 한다면, 셋 중 어느 것을 먼저 버려야 하겠습니까?” 하니,공자는 “군대를 포기하여야 한다”고 했다.자공이 “부득이 하나를 더 버려야 한다면 둘 중 어느 것을 버려야 합니까?”하니, 공자는 “식량을 포기하여야 한다. 자고로 누구나 죽게 되지만, 백성의 믿음이 없이는 존립할 수 없는 것이다”하였다. 子貢 問政,子曰: "足食, 足兵, 民信之矣."子貢曰: "必不得已而去, 於斯三者何先?"曰: "去兵."子貢曰: "必不得已而去, 於斯二者何先?"曰: "去食. 自古皆有死, 民無信不立[논어 안연(顔淵)] 2017. 7. 1.
위대한 리더들의 일상 언어 위대한 리더들의 일상 언어 사람은 그가 이룬 일과 그의 말로 평가된다. 위대한 리더가 일상적으로 쓰는 언어 9가지. 1. 지금 우리는 이런 상황에 있어. 누구나가 상황이 어떻게 돌아가는지를 알고 싶어한다. 정보가 제대로 주어지지 않으면 자신들이 모르는 영역을 추측으로 메우게 된다. 정보의 독점은 팀원들이 경시당하고 있다고 느끼게하여 그들의 의욕을 꺽고 팀웍을 무너뜨린다. 2. 우리 계획은 이거야. 팀원들에게 그들을 어디로 어떻게 이끌고 갈 것인지를 알려주어라. 3. 무엇을 필요로 하지? 이 질문은, 팀원들에 대한 관심과 그들이 잘 해내기를 바라는 희망의 표시이다. 또한 팀원들의 능력을 최대한 끌어올리고자 한다면 반드시 필요한 질문이다. 4. 좀더 이야기 해봐. 당신의 말을 듣게 하는 것보다 그들로부터 좋.. 2017. 7. 1.
인생은 빈 병 채우기와 같다 인생은 빈 병 채우기와 같다. 교수가 빈 병을 책상 위에 올려놓고는, 탁구공을 채웠다. 그리고는 학생들에게 물었다. "병이 찼나요?" 학생들은 그렇다고 대답했다. 그러자 교수는 병에 구슬을 부어넣었다. 구슬들은 탁구공 사이의 빈 공간을 무두 채웠다. 교수는 다시 물었다 "병이 찼나요?" 학생들은 그렇다고 대답했다. 그러자 교수는 병에 모레를 부어넣었다. 모레는 남아있는 빈 공간을 무두 채웠다. 교수는 다시 물었다 "병이 찼나요?" 학생들은 그렇다고 대답했다. 모레가 빈 자리를 모두 메운 것으로 여겨졌을 때, 교수는 거기에 맥주를 부어넣었다. 맥주는 모레 속에 스며들었다. "이 병은 여러분들의 인생입니다" 라고 교수는 말하며, "탁구공은 우리 인생에서 진정으로 중요한 것들을 나타냅니다. 가족, 친구, 건강.. 2017. 7. 1.
자손에게 재물을 남겨줄 것인가? 자손에게 재물을 남겨줄 것인가? 자손이 나와 같다면, 재물을 남겨주어 무엇 하겠는가? 재능이 있는 데 재물이 많으면 의지를 손상시킬 뿐이다. 자손이 나만 못하다면, 재물을 남겨주어 무엇 하겠는가? 어리석은데다 재물까지 많으면 잘못만 키울 뿐이다 _ 청나라 말기 청백리 임칙서(林則徐) 子孫若如我 留錢做什麼 賢而多財則損其志 子孫不如我 留錢做什麼 愚而多財益增其過 ** 임칙서 중국 청나라 정치가. 영국 상인들이 소유한 아편을 몰수해 상자를 불태우고, 아편상인들을 국외로 추방하는 등 강경 수단을 써 아편밀수의 근절을 꾀했다. 태평천국의 난을 진압 명을 받고 광시순무에 임명되어 부임 도중 병사했다. [네이버 지식백과] 임칙서 [林則徐] (두산백과) 2017. 6. 18.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