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라에는 네 개의 '벼리'(維)가 있다
(國有四維)
_ 관자(管子) 목민편(牧民篇)
(國有四維)
_ 관자(管子) 목민편(牧民篇)
제례의 축문(祝文)은 항상 '維'자로부터 시작한다.
우리는 이를 '벼리 유'(維)로 읊는다.
'벼리'는 사전에 보면 '그물의 위쪽 코를 꿰어 놓은 줄. 잡아당겨 그물을 오므렸다 폈다 한다.'라 풀고 있다, 즉, '벼리'는 그물의 모통이들에 묶은 그물줄이다. 사람들은 이 그물줄을 당기거나 풀어 그물을 조작한다.
나라에도 그 존재를 지켜주는 '벼리(維)'가 있다. 춘추시대 제환공(齊桓公)을 도와 패업을 이루게 한 명재상 관중(管仲)은 이렇게 말했다.
‘나라에는 네 가지 벼리가 있다.
하나가 끊어지면 나라가 기울고,
두 개가 끊어지면 위태로우며,
세 개가 끊어지면 뒤집어지고,
네 개가 끊어지면 멸망한다."
하나가 끊어지면 나라가 기울고,
두 개가 끊어지면 위태로우며,
세 개가 끊어지면 뒤집어지고,
네 개가 끊어지면 멸망한다."
(國有四維 一維絕則傾 二維絕則危 三維絕則覆 四維絕則滅)
_ '管子' 牧民篇
_ '管子' 牧民篇
관중은 그 네 가지 '벼리'를 '예의염치(禮義廉恥)'라 하였다.
‘예(禮)는 절도를 넘지 않는 것이고,
의(義, 옳음)는 제멋대로 나아가지 않는 것이며,
염(廉, 바름)은 잘못을 숨기지 않는 것이고,
치(恥, 부끄러움)는 그릇됨을 따르지 않는 것이다.'
의(義, 옳음)는 제멋대로 나아가지 않는 것이며,
염(廉, 바름)은 잘못을 숨기지 않는 것이고,
치(恥, 부끄러움)는 그릇됨을 따르지 않는 것이다.'
(禮不踰節 義不自進 廉不蔽惡 恥不從枉)
(** 踰는 넘을 유, 蔽는 덮을 폐, 枉는 굽을 왕)
<백범 김구 선생의 친필 '禮義廉恥'
안두희에게 암살되기 1년 전 경고장(京橋莊)에서 쓰신 글이라고 한다.>
**
관중은 다음과 같은 말을 더하였다.
기울면 바로 잡을 수 있고
위태로우면 안정시킬 수 있으며
뒤집히면 바로 세울 수 있으나
멸망하면 다시 세울 수 없다.
(傾可正也 危可安也 覆可起也 滅不可復錯也)
**
國有四維, 一維絶則傾, 二維絶則危, 三維絶則覆, 四維絶則滅. 傾可正也, 危可安也, 覆可起也. 滅不可復錯也. 何謂四維. 一曰禮 二曰義 三曰廉 四曰恥. 禮不踰節, 義不自進, 廉不蔽惡, 恥不從枉. 故不踰節, 則上位安; 不自進, 則民無巧詐; 不蔽惡; 則行自全; 不從枉, 則邪事不生. _ '管子' 牧民篇
반응형
'경영과 세상살이 > 지혜로운삶'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교학상장(敎學相長) 효학반(斅學半) _ 禮記 學記篇 (0) | 2019.09.15 |
---|---|
일을 도모하는 자는 _ 의사자(議事者)와 임사자(任事者) _ 채근담 (0) | 2019.09.14 |
페가수스 (0) | 2019.08.31 |
승마술(기마술, On Horsemanship)에 관하여 _ 크세노폰 (0) | 2019.08.25 |
노년과 욕망, 그리고 카잔차키스의 묘비명 (3) | 2019.08.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