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학상장(敎學相長) 효학반(斅學半)
_ 禮記 學記篇
비록 좋은 요리가 있다 하더라도
먹어보지 않고는 그 맛을 알 수 없고,
비록 지극한 도(道)가 있다 한들
배우지 않으면 그 좋은 점을 알 수 없다.
그러니 배우고 나서야 부족함을 알게 되고,
가르쳐보고 나서야 어려움을 알게 된다.
부족함을 알고 나면 스스로를 되돌아볼 줄 알게 되고
어려움을 알고 나면 스스로 강해질 수 있다.
그래서 가르침과 배움은 함께 성장하는 것이라고 말하는 것이며,
부열(傅說)이 말하기를 가르침은 배움의 절반이라 했으니,
바로 이를 두고 한 말이리라.
_ 예기 학기편
雖有佳肴 不食不知其旨也
雖有至道 不學不知其善也
是故學然後知不足 敎然後知困
知不足然後能自反也
知困然後能自强也
故曰敎學相長也 說命曰 斅學半
其此之謂乎
_ 禮記 學記篇
**
學然後 知不足(학연후 지부족)
배워야만 자신의 모자람을 알며,
敎然後 知困(교연후 지곤)
가르쳐 보아야만 어려움을 안다.
**
효학반(斅學半)
가르침(斅)은 배움(學)의 절반이다.
**
부열(傅說)
[부열(傅說)은 중국 은(殷)나라 고종(高宗) 때의 명재상이다. 그는 토목공사의 일꾼이었는데 재상으로 등용되어 중흥의 대업을 이룬 사람이다. 다음은 그가 군주에게 ‘학(學)’에 대해서 훈고(訓告)하는 내용의 말이다. 은나라의 재상 부열이 말했다.
“모든 일을 배움에 있어서 스스로 지혜가 뛰어나다든가 스스로 분별이 바르다고 하는 생각을 버리고, 현자의 가르침을 들어 그 실행을 민첩하게 할 것이다. 이렇게 하면 덕이 뛰어나게 되는데, 뛰어난 것을 언제나 생각하여 왕으로서 실행할 도(道)를 몸에 쌓도록 해야 한다. 또 사람을 가르치는 일도 필요하다. ‘가르치는 것은 배움의 절반이다[斅學半]’. 사람을 가르치는 데 스스로가 실행하지 못할 것을 가르쳐도 사람이 듣는 것이 아니니, 가르치기 위해서는 스스로 수양을 쌓아야 하며, ‘가르친다고 하는 것은 곧 자기가 배우는 것이다[斅學相長]’. 자기 몸을 수양할 때 처음에 선한 일을 했어도 후에 태만해지면 아무것도 안되므로, 항상 처음부터 끝까지 일관하여 선행에 힘쓰고, 끊임없이 배우는 일에 힘써 정진하면 덕이 닦여 자기가 알지 못하는 사이에 계속 진보해간다. 또 언제 자기가 진보했는지 확실히 알지는 못하지만 꾸준히 노력하면 언젠가는 덕도 높아지고 지혜도 밝아져 많은 사람을 교도할 수 있게 된다.”] _ [네이버 지식백과] 효학반 [斅學半] (두산백과)
'경영과 세상살이 > 지혜로운삶' 카테고리의 다른 글
7년 앓은 병에 3년 묵은 쑥을 구하다 _ 맹자 (0) | 2019.09.21 |
---|---|
진금부도(眞金不鍍) _ 진짜 금은 도금하지 않는다 (0) | 2019.09.15 |
일을 도모하는 자는 _ 의사자(議事者)와 임사자(任事者) _ 채근담 (0) | 2019.09.14 |
나라에는 네 개의 '벼리'(維)가 있다(國有四維) _ 관자(管子) 목민편(牧民篇) (0) | 2019.09.12 |
페가수스 (0) | 2019.08.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