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영과 세상살이/지혜로운삶

善行無轍迹(선행무철적) _ 노자 도덕경 제27장

by 변리사 허성원 2019. 1. 5.

善行無轍迹(선행무철적) 

_ 노자 도덕경 제27장

[길을 잘 가는 사람은 바퀴 자국을 남기지 않는다.]

 

善行 無轍迹(선행 무철적)
길을 잘 가면 바퀴 자국을 남기지 않고

善言 無瑕謫(선언 무하적)
말을 잘 하면 허물이나 앙금을 남기지 않는다.

善數 不用籌策(선수 불용주책)

셈을 잘 하면 산가지를 쓰지 않고

善閉 無關楗而不可開(선폐 무관건이불가개)

문을 잘 닫으면 빗장을 쓰지 않아도 열 수가 없으며,

善結 無繩約而不可解(선결 무승약이불가해)

끈을 잘 묶으면 매듭이 없어도 풀리지 않는 것이다.

是以聖人(시이성인)
그래서 지혜로운 사람은

常善求人 故無棄人(상선구인 고무기인)
언제나 사람을 잘 구하기에, 버리는 사람이 없으며,

常善救物 故無棄物(상선구물 고무기물)

물건을 잘 구제하기에, 버리는 물건이 없다.

是謂襲明(시위습명)
이를 가리켜 밝음을 갖추었다고 한다.

故善人者 不善人之師(고선인자 불선인지사)
그래서 선한 사람은 선하지 못한 사람의 스승이 되고,

不善人者 善人之資(불선인자 선인지자)

선하지 못한 사람은 선한 사람의 바탕이니,

不貴其師 不愛其資(불귀기사 불애기자)
그 스승을 귀히 여기지 않고 그 바탕을 아끼지 않으면 

雖智大迷 是謂要妙(수지대미 시위요묘)

비록 지혜롭더라도 크게 미혹될 것이니, 이를 신묘하다 할 것이다.

 

 

** 善行 無轍迹(선행 무철적)

그대로 해석하면 '길을 잘 가는 사람은 바퀴 자국을 남기지 않는다'로 풀어야 할 것이다.

이 말은 다양하게 해석될 수 있다. 
노자의 무위 자연 사상을 고려하면, '자연이나 인간에게 진정으로 좋은 행위는 그 대상에게 흔적을 남기지 않는 것이다'로 해석한다. 인위적인 영향을 가하고 흔적을 남기는 것은 노자 철학에 있어 좋은 행위(善行)가 아니다.

어떤 이는 '착한 행실은 자취를 남기지 않는다'라고 풀기도 한다. 좋은 뜻으로 하는 행위는 그 결과가 눈에 드러나지 않아야 진정한 선행(善行)이라는 의미이다.

어느 해석이든 충분한 가르침을 준다.

 

** '선행은 흔적을 남기지 않는다'와 유사한 가르침은 많다.

"君子之道 費而隱(군자지도 비이은)"中庸(중용)
    "군자의 도는 그 쓰임은 두루 미치되 눈에 띄지 않는다."

"오른손이 한 일을 왼손이 모르게 하라"_ 마태복음 6장 3절



**
善言 無瑕謫(선언 무하적)

말씀 言(언)은 의견이나 견해와 같이 생각을 전달하는 것을 가리키지만 통상 누군가에게 조언하거나 간언하는 것을 의미한다. 그리고 瑕(하)는 하자 혹은 흠을 의미하고, 謫(적)은 책망이나 허물을 가리킨다.

따라서 이 문장은 이렇게 해석하고 싶다.

남에게 조언이나 충고를 할 때
자신에게든 상대에게든 허물이나 앙금을 남기지 말라"

불필요한 말을 내뱉고 나서 자책을 하거나, 부적절한 충고나 지적질로 상대의 가슴에 원한이나 불쾌를 남기지 말라는 가르침으로 받아들이고 싶다. 

 

**

常善求人 故無棄人(상선구인 고무기인)

항상 사람은 제대로 구하여야 사람을 버리는 일이 없게 되는 법이다.

그러니

疑人勿用 用人勿疑(의인물용 용인물의) _
의심가는 사람은 써서는 아니되고, 쓴 사람은 의심해서는 아니된다.

 

 

**
물고기가 다니면 물이 흐려지고
새가 날면 깃털이 떨어진다.
(魚行水濁 鳥飛毛落)

벽암록에 나오는 문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