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지적재산권보호/특허의도

황홀(恍惚) _ 도덕경 14장

by 변리사 허성원 2021. 6. 11.

황홀(恍惚)

 

보아도 볼 수 없는 것, 이름하여 ()라 한다.
들어도 들을 수 없는 것, 이름하여 희()라 한다.
잡아도 잡을 수 없는 것, 이름하여 ()라 한다.
이 셋은 따져 나눌 수 없이 혼재되어 하나를 이룬다.
그 위가 밝은 것도 아니고 그 아래가 어두운 것도 아니다.
끝없이 서로 엮여 있으니 뭐라 이름을 붙일 수가 없어,
결국 '실물이 없는 상태(
無物)'로 돌아간다.
이는 '형상이 없는 상태(無狀之狀)', 혹은 '물질이 없는 모습(無物之象)'이라 하며,
이를 '황홀(恍惚)'이라 부른다.
앞에서 보아도 그 머리를 볼 수 없고, 뒤를 따라도 그 뒤를 볼 수 없다.
옛날의 도를 가지고 지금의 것을 다루어보면,
옛 것이 어떻게 시작된 지를 알 수 있으니, 이를 도의 실마리(道紀)라 한다.

視之不見, 名曰夷. 聽之不聞, 名曰希. 搏之不得, 名曰微. 此三者, 不可致詰. 故混而爲一. 其上不曒, 其下不昧, 繩繩不可名, 復歸於無物. 是謂無狀之狀, 無物之象. 是謂恍惚. 迎之不見其首, 隨之不見其後. 執古之道, 以御今之有. 能知古始, 是謂道紀. _ 도덕경 제14장

 

**
'황홀(恍惚)'
도덕경은 '형상이 없는 상태(無狀之狀)' 혹은 '물질이 없는 모습(無物之象)'라 정의하고 있다.

국어사전에서는 다음과 같이 정의되어 있다.

황홀 恍/惚  
  1.명사 눈이 부시어 어릿어릿할 정도로 찬란하거나 화려함.
  2.명사 어떤 사물에 마음이나 시선이 혹하여 달뜸.
  3.명사 미묘하여 헤아려 알기 어려움.

 

**
도(道)라는 것은 보아도 볼 수 없고
, 들어도 들을 수 없고, 잡아도 잡을 수 없는 것이다.
그런 미묘한 것들이 섞이어
부단히 변화하며 연속되는 것이라, 마땅히 특정하여 이름 붙일 수도 없다.
실물에 얽매이지 않아 형상에서 벗어나니, 형상도 없고 물질도 없는 미묘한 상태이기에, 감각으로는 알 수 없어, 앞에서든 뒤에서든 그 머리와 꼬리를 볼 수 없다.
하지만 옛날의 도를 가지고 지금 존재하는 것을 다루어보면, 옛날에 왜 그렇게 하였는지 그 실마리를 알 수 있다.

 

**
도는 시각, 청각, 촉각과 같은 감각으로 알 수 있는 것이 아니기에, 감각을 키우다고 해서 더 밝아지지도 않고, 감각이 나쁘다고 해서 더 어두워지는 것도 아니다.
또한 
부단히 변화하고 연속되니 뭐라 특정할 수 없고, 물체로부터 벗어나니 형상도 물질도 없는 미묘한 것이다.

'삶의 도'를 가지고 설명해볼 수 있다.
, 예술 혹은 기술과 같이 인간의 정서나 문화를 이끄는 '삶의 도'는 오감으로 모두 감지할 수 없다.
사람에 따라 다소 그 감지 능력에 차이가 있다 하더라도 훤히 밝게 알거나 도통 느끼지 못하는 어두운 상황이 오지는 않는다. 누구든 그 미묘함을 충분히 헤아리지 못한다.

예술이나 기술 등과 같은 '삶의 도'는 강물이 흘러가는 것처럼 부단히 변화하며 흘러간다.
그 흐름 과정에서 그들이 적용되거나 영향을 미쳤던 실체의 존재로부터 유리되어, '실체가 없어진 실체'의 모습을 갖게 된다.
예를 들어 농사를 짓기 위해 밭을 갈던 기술이 있었다. 그 밭 가는 기술은 ''으로부터 유리되어 그저 '땅을 파는 기술'이 된다. '땅을 파는 기술'은 어느날부터 쇠나 구리 혹은 석탄을 캔다. 그 기술은 다시 소재를 가공하는 기술로 진화하여 간다.
그래서 어느 순간 기술의 변화를 갑자기 맞이하거나 혹은 그 변화를 뒤따라 가는 사람은 그 실체를 제대로 알 수가 없다. 하지만 옛날의 것을 가지고 와서 지금의 상황에 적용하여 처리하고자 시도해보면, 그 옛날에 왜 이런 변화를 추구하였는지를 알게 된다. 그래서 도는 그 변화의 스토리를 항상 내포하고 있는 것이다.

 

**
무체자산(Intangible asset)

기업들의 자산은 유체자산과 무체자산으로 나뉘어진다.
과거에는 주로 부동산, 설비 등 유체자산이 주를 이루었다면, 최근에는 역전되어 무체자산의 비율이 더욱 커지고 있다. S&P 500대 기업들의 자산 구조 변화에서 잘 나타나고 있다.

무체자산은 특허, 상표, 영업비밀 등으로 이루어지며, 최근의 유니콘 기업들에서 특히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택시 한 대 없는 택시회사 우버, 방 하나 없는 호텔회사 에어비앤비, 건물 하나 없는 사무실 임대회사 위워크 등이 그러하다.
가히 '없음의 경제'라 할만하다. 

무체자산은 도덕경 제14장과 매우 상통한다. 
볼 수도 들을 수도 만질 수도 없는 무상지상(無狀之狀) 및 무물지상(無物之象)의 그야말로 '황홀(恍惚)'한 것이다.
그러면서도, 엄청난 기업가치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엄청난 경제 효과를 유발한다.

'황홀(恍惚)'무체자산의 비율이 높은 회사일수록 황홀한(눈부신 성장을 한) 기업이라 할 것이다. 

  

**
'황홀(恍惚)' 조각 작품

최근 예술품 경매에서, 이탈리아의 조각가 살바토레 가라우의 '보이지 않는' 조각 작품이 15,000유로(약 2천만원)에 팔렸다.
이 작품은 볼 수 없을 뿐만 아니라 만질 수도 없다. 실체가 존재하지 않기 때문이다.

당연히 이 작품에 대해 논란이 많았다. 논란들에 대해 가라우는 이렇게 답했다.

"이 예술 작품은 '없음'이 아니라 '비움'이다."
(My work of art isn’t 'nothing,' but is instead a 'vacuum.')

가라우의 작품은 그 이전에도 있었다. 밀라노의 한 도로변에 전시된 그 작품의 이름은 '명상 중인 부처'이다. 이 역시 실체가 없다.

가히 현대판 '봉이 김선달' 내지는 '벌거벗은 임금님'의 재현이라 할 만하다.

가라우의 작품은 매우 도덕경스럽다.
진정한 무상지상(無狀之狀), 무물지상(無物之象)의 조각 작품이 아닌가.

 

The art piece, which is titled “Io Sono” (Italian for “I am”), was created by Italian artist Salvatore Garau, who sold it for 15,000 Euro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