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영과 세상살이/지혜로운삶

필부지용(匹夫之勇), 사대(事大)와 사소(事小)_ 맹자

by 변리사 허성원 2019. 6. 17.

사대(事大)와 사소(事小), 필부지용(匹夫之勇)

맹자 양혜왕(孟子 梁惠王)편



제선왕(齊宣王)이 뭍기를, 

"이웃 나라와 교류하는 데 어떤 도리가 있습니까?"(交隣國有道乎?)하니,

맹자(孟子)가  대답했다.

"있습니다. 

오직 '어진 이'만이

큰 나라를 가지고서도 작은 나라를 섬길 수가 있습니다.

(惟仁者 爲能 以大事小)

그래서 湯임금이 葛나라를 섬기고 문왕이 昆夷를 섬겼던 것입니다. 

그리고

오직 '지혜로운 이'(智者)만이

작은 나라를 가지고 큰 나라를 섬길 수가 있습니다.

(惟智者 爲能 以小事大).

그래서 太王이 훈육(獯鬻)을 섬기고 구천(勾踐)이 오나라를 섬겼던 것입니다.


큰 나라로서 작은 나라를 섬기는 것(以大事小者)

하늘의 도리를 즐기는 것(樂天者)이며,

작은 나라로서 큰 나라를 섬기는 것(以小事大者)

하늘의 도리를 두려워하는 것(畏天者)입니다.

하늘의 도리를 즐기는 자는

천하를 보전할 수 있으며(樂天者保天下),

하늘의 도리를 두려워하는 자는

그 나라를 보전할 수 있습니다(畏天者保其國)


시경에 이르기를 '하늘의 위엄을 두려워했기에 지금까지 나라를 보전하고 있도다.'(畏天之威, 于時保之)라고 하였습니다."


齊宣王問曰 "交隣國有道乎?" 孟子對曰  "有. 惟仁者 爲能以大事小, 是故 湯事葛, 文王事昆夷. 惟智者 爲能以小事大, 故太王事獯鬻, 勾踐事吳. 以大事小者, 樂天者也; 以小事大者, 畏天者也. 樂天者保天下, 畏天者保其國. 詩云 '畏天之威, 于時保之.'"

[ *昆夷 : 서쪽 오랑캐, 太王 : 문왕의 조부인 고공단보(古公亶父), 獯鬻(훈육) : 북쪽이민족, 時 : 지금까지]

 


왕이 말했다. 

"정말 좋은 말씀입니다. 그러나 과인은 흠이 있으니, 과인은 용맹한 것을 좋아합니다."

맹자가 대답했다. 

"왕께서는 작은 용기 좋아하시지 않기를 바랍니다(王請無好小勇)

칼을 어루만지며(撫劍) 노려보면서(疾視) 말하기를,

'네가 감히 나를 당할 수 있겠느냐.'

라고 하면(彼惡敢當我哉),

이는 한낱 필부의 용기(필부지용, 匹夫之勇)에 불과합다.

겨우 한 사람을 대적할 수 있을 뿐입니다(敵一人者也)

왕께서는 큰 용기를 가지시기 바랍니다(王請大之)

시경에 이르기를, '왕이 잠시 노하였음을 드러내어 군대를 정비함으로써 거(莒)나라를 막아 주나라의 복을 다지고 널리 천하의 기대에 부응하셨네.'라고 하였다.

이것이 문왕의 용기입니다. 문왕은 한번 노하여 천하의 백성들을 편안하게 했습니다. 

서경에 '하늘이 백성을 내시고 그들의 임금과 스승으로 나를 세우시면서 명하시기를 상제(上帝)를 도와서 천하의 백성들을 사랑하고 편안케 하라고 하시었다. 죄가 있는 자를 벌하고 죄가 없는 자를 편안케 하는 것은 오직 나의 책임이다. 이 세상에서 누가 감히 하늘의 뜻을 무시하는 반역적인 행동을 할 수 있으랴.'라고 하였습니다. 

한 사람이 천하를 횡행하는 것을 무왕은 부끄럽게 여기셨습니다. 이것이 무왕의 용기입니다. 무왕도 또한 한번 성내셔서 천하의 백성들을 편안케 하셨습니다. 

지금 왕께서도 한번 노하셔서

천하의 백성을 편안하게 하실 수가 있으시다면

(今王亦一怒而安天下之民)

백성들은 왕께서 용맹을 좋아하지 않으실까 두려워할 것입니다.

(民惟恐王之不好勇也)."


王曰 大哉言矣 寡人有疾 寡人好勇

對曰 王請無好小勇 夫撫劍疾視曰 彼惡敢當我哉 此匹夫之勇 敵一人者也 王請大之. 

詩云 王赫斯怒 爰整其旅 以遏徂莒 以篤周祜 以對于天下.

此文王之勇也 文王一怒而安天下之民 

書曰 天降下民 作之君 作之師 惟曰其助上帝寵之 四方有罪無罪惟我在 天下曷敢有越厥志?' 

一人衡行於天下 武王恥之 此武王之勇也. 

而武王亦一怒而安天下之民 今王亦一怒而安天下之民 民惟恐王之不好勇也.


[赫 : 드러내다, 크게 화를 내다. 斯 잠시, 爰 이에, 旅 군대, 遏 막다, 徂 막다]

[惡(어찌) 敢當我 어찌 감히 나를 당하겠는가]



** 군자지용(君子之勇)과 소인지용(小人之勇)

자로가 물었다.
"군자는 용기를 숭상합니까?"
공자가 대답했다.

"군자는 의로움을 가장 숭상한다.
군자가 용기만 가지고 의로움이 없으면
난을 일으키게 되고,
소인이 용기만 가지고 의로움이 없으면
도적이 된다."

子路曰 君子尙勇乎. 子曰 君子義以爲上 君子有勇而無義 爲亂 小人有勇而無義 爲盜. - 논어, 양화 제23장-


** 호용질빈(好勇疾貧)

행동에 거침이 없으면서 구차함을 싫어하면
세상을 어지럽히고
남의 어질지 못함을 싫어함이 과도하여도
세상을 어지럽힌다.

子曰 好勇疾貧 亂也 人而不仁 疾之已甚 亂也 _ 논어 泰伯편 


** 見義不爲 無勇也(견의불의 무용야)

자신의 귀신이 아님에도 제사를 지내는 것은
아첨하는 짓이고, 
옳은 일을 보고도 행하지 않는 것은

용기가 없기 때문이다.

 , . , . _ 논어 爲政편

(노나라 대부 계씨(氏)가 외람되이 태산에 제사를 지내려하자 계씨의 가신으로 있던 공자의 제자 염유(有)에게 그것을 못하게 하라고 했으나 그가 말리지 못한 일을 두고 공자가 한 말.)


** 暴虎馮河之勇(포호빙하지용)

"맨손으로 범을 잡으려 하고
맨발로 황하를 건너려다가
죽어도 후회가 없다고 하는 자와는
나는 함께 하지 않을 것이다.

내가 함께 할 사람은
반드시 일에 임하여 두려운 생각을 가지고
즐겨 도모
하여 일을 성공시키는 사람이다


暴虎馮河 死而無悔者 吾不與也 必也臨事而懼 好謀而成者也
(포호빙하 사이무회자 오불여야 필야임사이구 호모이성자야)
_ 논어 술이편, 자로와의 대화 중


용기란
두려움이 없는 것이 아니라

두려움을 직면하고 극복하여
임무를 완수하는 능력이다.


**

죽음을 가볍게 생각하고 난폭한 행동을 하는 것은 소인의 용기요(小人之勇), 죽음을 중히 여기고 굳건히 의(義)를 지키는 것은 군자의 용기다(君子之勇)-순자


**

설검(說劍)_ 천자의 검, 제후의 검, 서인의 검 _ 장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