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영과 세상살이/지혜로운삶

안자논죄(晏子論罪) _ 풍간(諷諫)

by 변리사 허성원 2017. 1. 29.

안자논죄(晏子論罪)
(안자 죄를 논하다.)

 

() 경공(景公)이 사냥을 좋아하여, 촉추(燭鄒)라는 사람에게 새를 기르게 하였는데 그가 새를 잃어버렸다. 공이 화가 나서 그를 죽이라고 하였다

이에, 안자가 "촉추는 죄가 셋 있으니, 그를 그의 죄에 맞게 논죄한 후에 죽이도록 해주십시오." 라고 하였다. "그리 하라."라고 하였고, 이에 안자가 그를 불러내어 공의 앞에서 죄를 물었다.

"촉추! 너는 군주의 새를 관리하면서 그것을 잃어버렸으니 이것이 첫번째 죄다.
우리 군주로 하여금 새 때문에 사람을 죽이게 하니 이것이 두번째 죄다.
제후들로 하여금 우리 군주가 새는 중하게 여기고 선비는 가볍게 여긴다는 소리를 듣게 하니 이것이 세번째 죄다." 라고 하고,
"이제 촉추의 논죄가 끝났으니 이를 죽이도록 해주십시오"라고 하자,

제경공은 "죽이지 말라! 과인이 그 가르침을 듣겠다." 하였다.    

 

景公 好弋 使燭鄒主鳥 而亡之. 公怒 詔吏殺之
晏子曰 燭鄒有罪三 請數之以其罪而殺之公曰:“
于是召而數之公前  燭鄒 
汝為吾君主鳥而亡之 是罪一也
使吾君以鳥之故殺人 是罪二也
使諸侯聞之,以吾君重鳥以輕士 是罪三也
數燭鄒罪已畢 請殺之.
公曰 勿殺 寡人聞命矣.
_ [晏子春秋外篇]

 

** 풍간(諷諫)  완곡하게 간함, 우회적인 충고(迂直之計)

** 사기의 저자 사마천
假令晏子而在(가령안자이재) 余雖爲之執鞭(여수위지집편所忻慕焉(소흔모언)
가령 안자가 지금 살아있다면, 나는 비록 그를 위해 말 채찍을 잡는 마부가 되더라도, 기꺼이 흠모할 것이다

안자 일화

이도살삼사()
남귤북지(南橘北枳) 귤화위지(橘化爲枳)
안자지어(晏子之御) 의기양양(意氣揚揚)
- 양두구육(
肉)
응구첩대(應口捷對: 물음에 거침없이 대답함.) 개구멍, 작은 키, 남귤북지

관안열전

http://www.dotomari.com/964 

 

**
한비자(韓) 세난() 편
"용이라는 동물은 유순하여 길들이면 올라 탈 수 있다. 그러나 그 목 아래 한 자 길이의 거꾸로 난 비늘이 있는 경우 그 용을 길들인 사람일지라도 그 비늘을 건드리면 반드시 죽는다. 군주에게도 역린이 있다. 설득하려는 자는 군주의 역린을 건드리지 않을 수 있어야 설득을 기대할 수 있다(, , , . , )." [네이버 지식백과] 역린 [逆鱗] (두산백과)

 

**
간군오의(諫君五義)

첫 번째가 휼간(譎諫)이다. 대놓고 말하지 않고 넌지시 돌려서 간하는 것을 말한다. 말하는 사람이 뒤탈이 없고, 듣는 사람도 기분 좋게 받아들일 수 있다. 잘하면 큰 효과를 거둔다. 두 번째는 당간(戇諫)이다. 당(戇)은 융통성 없이 고지식한 것이니, 꾸밈없이 대놓고 간하는 것이다. 자칫 후환이 있을 수 있다. 세 번째는 강간(降諫)이다. 자신을 낮춰 납짝 엎드려 간하는 것이다. 상대를 추어주며 좋은 낯빛으로 알아듣게 간하는 것이다. 우쭐대기를 좋아하는 임금에게 특히 효과가 있다. 네 번째가 직간(直諫)이다. 앞뒤 가리지 않고 곧장 찔러 말하는 것이다. 우유부단한 군주에게 필요한 처방이다. 다섯 번째는 풍간(諷諫)이다. 비꼬아 말하는 것이다. 딴 일에 견주어 풍자해서 말하는 방식이다. 말 속에 가시가 있다. 한나라 때 유향(劉向)도 "설원(說苑)" '정간(正諫)'편에서 직간(直諫) 대신 정간(正諫)을 넣어 이 다섯 가지 간언(諫言)의 방식을 설명했다. [출처] [정민의 세설신어] [93] 간군오의(諫君五義)

 

[정민의 세설신어] [93] 간군오의(諫君五義)

오솔길

blog.naver.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