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다의 큰 물고기(海大魚)
_ 韓非子 說林下
정곽군이 설 땅에 성을 쌓고자 하였다.
많은 식객들이 간하여 말리니,
정곽군은 아랫사람에게 식객들을 들여보내지 말라고 일렀다.
제나라 출신 식객 한 사람이 뵙기를 청하였다.
"딱 세 마디만 말하겠습니다. 세 마디를 넘기면 저를 삶아 죽여도 좋습니다"
정곽군이 그를 만나보자고 하니, 그 식객이 종종걸음으로 나아가,
"해대어(海大魚, 바다의 큰 물고기)"
라고 말하고는 돌아서 달아나려했다.
정곽군이 "그 말의 설명을 듣고 싶소"라고 하자,
그 식객은 "감히 죽음을 가지고 장난을 치고 싶지 않습니다."라고 답했다.
정곽군은 "벌하지 않을테니 과인을 위해 말해주길 바라오"라고 하니,
객이 답하였다.
"군께서는 큰 물고기에 대해 들어보셨을 겁니다.
그물로 가둘 수 없고 작살로도 잡을 수 없지만,
튀어 올라 물을 벗어나면 땅강아지와 개미조차도 마음대로 다룰 수 있습니다.
지금 제나라는 군에게는 바다와 같습니다.
군께서 제나라에 오랫동안 살고자 하신다면,
설 땅으로 도대체 무엇을 하려고 하십니까?
만약 제나라를 잃는다면
설 땅의 성을 하늘에 닿도록 쌓았다한들 무슨 이로움이 있겠습니까?"
정곽군은 '옳은 말이다.'라고 하고,
공사를 멈추게 하여 설 땅에 성을 쌓지 않았다.
靖郭君將城薛, 客多以諫者。靖郭君謂謁者曰 毋爲客通。 齊人有請見者曰 臣請三言而已。過三言, 臣請烹。 靖郭君因見之。客趨進曰 海大魚。 因反走。靖郭君曰 請聞其說。客曰 臣不敢以死爲戲。 靖郭君曰 願爲寡人言之。 答曰 君聞大魚乎? 網不能止, 繳不能絓也, 蕩而失水, 螻蟻得意焉。今夫齊亦君之海也。君長有齊, 奚以薛爲君? 失齊, 雖隆薛城至於天, 猶無益也。 靖郭君曰 善。 乃輟, 不城薛。韓非子 說林下
** 이 '海大魚'의 일화는 한비자(韓非子, 說林下) 외에도 전국책(戦国策), 회남자(淮南子, 人間訓), 신서(新序, 雑事二) 등에도 등장한다.
이 고사의 가르침은 크게 두 가지이다.
하나는 우리 모두가 '바다의 큰 물고기' 신세임을 잊지말라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절묘한 '설득의 기술'을 일깨워 주는 것이다.
** 우리 모두는 '바다의 큰 물고기'이다.
누구나 자신이 처한 환경의 지배를 받는다. 그 환경은 가정, 직장, 국가, 사회 혹은 사적 공적 커뮤니티일 수 있다. 그러한 환경은 이 고사에서 말하는 바다이며, 그 환경 속에서 살아가는 우리는 모두 그 바다에 사는 '큰 물고기'와 같다. 물고기는 바다를 떠나서는 생존할 수 없다.
가끔 우리는 자신의 힘이나 성취를 과신하여 '물고기'에 불과한 운명임을 잊는다. 그리하여 자신이 속한 바다를 자신도 살 수 없는 환경으로 망쳐놓거나, 혹은 준비없이 그 바다를 떠나 되돌릴 수 없는 치명적인 상처를 입는 우를 범하기도 한다.
특히 기업의 중책을 맡은 임원이 자신의 무게를 지나치게 과신하여 무리한 요구를 하거나 처신이 과도하여 마찰을 일이키는 경우를 가끔 보게 된다. 이런 경우 대개는 그 임원이 회사를 떠나고 그 이후 적절한 정착이 이루어지지 않는다. 한낱 물고기가 자신의 생존 바탕인 바다를 떠났기 때문이다.
** 그리고 바다는 자비롭지 못하다.
무릇 바다에 적을 두고 삶을 유지하는 모든 생명체는 무자비한 바다를 감히 위협하여서는 아니된다. 바다 속에서 사는 존재가 그 거친 바다의 권위를 위태롭게 하면 바다는 존재를 그대로 지켜보고만 있지 않는다. 바다는 자신의 평화를 위해 그 생명체를 반드시 배척한다. 그렇게 바다에서 쫒겨난 수많은 생명체가 지금도 힘겹게 뭍을 돌아다니고 있다.
바다라는 절대권력 속에 사는 신하가 큰 성을 쌓는다는 것은 명백히 바다의 권위에 도전하는 위협 행위이다. '성'은 실제의 물리적인 건축물일 수도 있지만, 인적 파벌을 구축하여 세력을 확장하거나, 재력이나 권력을 강화시켜 왕권을 위태롭게 하는 것도 포함될 것이다.
현대의 기업 활동에서도 조직 내 임원이 자신의 입지를 강화하기 위해 취하는 노력도 이와 다르지 않다. 다만 그런 활동은 바다(기업, 최고 경영자, 오너)의 자비심 범위 내에서만 허용될 것이다.
** '해대어(
海大魚)'의 고사는 매우 기지가 뛰어난
'설득의 기술'을 가르친다.
부하는 상관에게 절실하게 간언을 하고 싶지만, 상관은 그의 말을 들으려고 하지 않는다. 이럴 때 어떻게 해야 내 속에 든 말을 상대방에게 전달할 것인가?
이 고사의 식객은 불쑥 뜬금없이 '
海大魚'라
는 말을 던져 정곽군의 호기심을 자극한다. 그것을 실마리 삼아 자신의 생각을 상대가 간절히 이야기를 듣고 싶게 만들고, 결국 자신이 하고자 하는 말을 충분히 다하였던 것이다.ㅋ
이 설득 수법을 '관심 미끼 전략'이라 불러도 되겠다.
사실 우리도 일상생활에서 이런 고급 초식을 본능적으로 써봤거나 알게 모르게 당해봤을 걸로 생각된다. 상대의 관심을 은근히 유도하여 내가 말하고자 하는 메시지를 상대가 궁금해 하게 만들어서 알게 하는 어쩐지 몸에 익은 듯한 그런 수법 말이다.
* 정곽군(靖郭君) : 이름은 전영(田嬰). 제(齊)나라 재상, 맹상군의 아버지. 제위왕의 아들, 제선왕(齊宣王)의 이복 동생. 손빈과 함께 마릉전투에서 위나라를 크게 무찔렀다.
'時習_아테나이칼럼 > 칼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촉석루칼럼] 배고픈 사자는 하늘을 본다 _ 191031 (0) | 2019.10.31 |
---|---|
[촉석루칼럼] 나는 나의 욕망을 욕망하고 싶다 _191023 (0) | 2019.10.20 |
[촉석루칼럼] 굶어죽어도 씨앗을 베고 죽는다 _ 191016 (0) | 2019.10.20 |
[촉석루칼럼] 좋은 말 3배의 법칙 _191009 (0) | 2019.10.02 |
[촉석루칼럼] 악화는 양화를 구축한다. _ 191001 (0) | 2019.10.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