똑똑한 사람이 되기보다 어리석은 사람이 되지 말자 _ 찰리 멍거처럼 생각하라!
**
찰리 멍거(Charlie Munger, 1924~2023)는 미국의 저명한 투자가이자 기업인으로, 워런 버핏의 절친이자 워렌 버핏과 함께 버크셔 해서웨이(Berkshire Hathaway)를 성장시킨 핵심 인물이었다.
멍거는 원래 변호사였으나, 1960년대 초 투자 분야로 전향해 투자 회사 웨스코 파이낸셜을 설립했고, 1978년부터 버크셔 해서웨이 부회장으로 재직하며 워런 버핏의 오른팔이자 신뢰받는 조언자로 활약했다.
그의 투자 철학은 장기적 관점, 합리적 사고, 포트폴리오 다각화를 중시하는 것으로 유명하며, 감정보다는 논리와 데이터에 기반한 의사결정을 강조했다.
찰리 멍거는 단순한 투자가를 넘어 기업가이자 철학자로 평가받으며, 그의 삶과 업적, 투자 철학은 많은 이들에게 귀감이 되고 있다
그는 2023년 11월 28일, 100세 생일을 앞두고 세상을 떠났다.
**
찰리 멍거의 격자틀 인식 모형(Latticework of Mental Models)은 다양한 학문 분야의 핵심 개념들을 통합해 복잡한 문제를 다각도로 분석하는 사고 체계이다. 이 모형은 단순한 지식 축적이 아닌, 학제간 통찰을 실용적인 의사결정에 적용하는 방법론이다157.
핵심 구성 요소
- 다학제적 지식 통합
멍거는 경제학, 심리학, 물리학, 생물학, 수학, 철학 등 다양한 분야의 핵심 원리 80~90개를 습득할 것을 강조한다. 예를 들어: - 실용적 적용 메커니즘
- 학습 프로세스
실제 투자 적용 사례
- 확증 편향 회피: 반대 증거 적극 수집해 주관적 판단 보정4.
- 능력의 원(Circle of Competence): 이해 불가능한 분야는 배제34.
- 복리 효과 극대화: 단기 변동성 무시하고 우량기업 장기 보유36.
"사실이 머릿속 모형의 격자틀에 매달리지 않으면, 당신은 그것을 활용 가능한 형태로 소유한 것이 아니다." — 찰리 멍거6.
이 모형은 투자를 넘어 복잡한 현실 문제 해결의 보편적 프레임워크로 기능하며, 지속적 학습과 다차원 사고를 통해 오류 최소화 및 의사결정 질 향상을 도모합니다157.
https://buffettclub.co.kr/article-20230608/
[찰리 멍거 특집 4] ‘격자틀 인식 모형’ 구축하기
격자틀 인식 모형이란 방대한 지식을 차곡차곡 정리해 현실 세계에서 맞닥뜨리는 수많은 시나리오를 판단하는 방법이다. 학교에서 개별적인 지식을 단순하게 잘 암기하던 우등생도 현실에서는
buffettclub.co.kr
**
<찰리 멍거의 5가지 사고 모델>
“여러 학문 분야에서 온 모델이 없다면, 당신은 사업과 인생에서 실패할 것이다.”
“Without models from multiple disciplines, you will fail in business and in life.”
– 찰리 멍거(Charlie Munger)
수년 전, 나는 우연히 찰리 멍거가 1994년 USC에서 했던 유명한 연설의 PDF 파일을 발견했다.
그 연설에서 그는 *80~90개의 시대를 초월한 ‘사고 모델(mental models)’*만 갖추면 세상을 더 잘 이해하고 살아갈 수 있다고 역설했다.
이 아이디어는 내게 깊은 영감을 주었고, 나는 2018년 초부터 중요한 사고 모델들을 정리하기 시작했다.
지금까지 약 6년이 흐른 지금, 나는 정확히 80개의 사고 모델을 정리하게 되었다. 그중 많은 것은 다시 겪고 싶지 않은 값비싼 실수를 통해 배운 것들이다.
찰리 멍거는 2023년 11월 28일, 100세 생일을 앞두고 세상을 떠났다.
오늘은 그가 내게 영감을 준 사고 모델들 중에서 가장 좋아하는 다섯 가지를 공유하고자 한다.
1. 격자구조(Latticework)를 구축하라
가장 근본적이고 중요한 모델이다. 다양한 모델을 수집하고 내면화하라는 뜻이다.
멍거는 이렇게 말했다:
“첫 번째 원칙은,
단편적인 사실만 외워서는 진정한 지식을 가질 수 없다는 것이다.
그 사실들이 어떤 '이론의 격자구조'에 연결되어 있지 않다면, 그것은 활용할 수 있는 지식이 아니다…
머릿속에 있는 '모델들의 격자' 위에다 자신의 경험을 얹어야 한다.”
“The first rule is that you can’t really know anything if you just remember isolated facts and try and bang ’em back. If the facts don’t hang together on a latticework of theory, you don’t have them in a usable form … You’ve got to hang experience on a latticework of models in your head.”
2. 배우려면 가르쳐라 – 오랑우탄 효과
멍거는 이것을 ‘오랑우탄 효과(Orangutan Effect)’라고 불렀다. 그는 이렇게 말했다:
“당신이 오랑우탄과 앉아서 당신이 소중히 여기는 아이디어를 천천히 설명한다고 해보라. 오랑우탄은 어리둥절할지 몰라도, 당신 자신은 그 자리에서 더 명료하게 사고하게 될 것이다.”
“If you sit down with an orangutan and carefully explain to it one of your cherished ideas, you may leave behind a puzzled primate, but will yourself exit thinking more clearly.”
아이러니하게도, 가르치는 사람이 가장 많이 배운다.
3. 심리적 회계(Mental Accounting)를 경계하라
멍거는 사람들이 돈을 버는 방식이 그 돈의 가치를 인식하는 방식에 영향을 미친다고 설명했다.
그는 이런 예를 들었다:
도박꾼이 카지노에 $100을 들고 가서 $500으로 불렸다가, 결국 $300을 들고 나왔다고 하자.
대부분은 “$200 벌었다”고 말하지만, 멍거는 실제로는 $200을 잃은 것이라고 했다.
‘하우스 머니’로 플레이했다 해도 그 돈은 실제 돈이며, 원래 $500을 갖고 나올 수 있었던 기회를 잃은 것이기 때문이다.
나는 보너스나 세금 환급 같은 예상치 못한 돈을 받을 때마다 이 모델을 떠올린다.
4. 뒤집어 생각하라 – 항상 뒤집어라
멍거의 가장 유명한 말 중 하나는 이렇다:
“내가 알고 싶은 건 단 하나, 내가 어디서 죽을지를 아는 것이다. 그래야 그곳을 절대 가지 않을 테니까.”
“All I want to know is where I’m going to die, so I’ll never go there.”
하지만 나는 그가 버크셔 해서웨이 주주총회에서 한 이야기 속 표현을 더 좋아한다.
제2차 세계대전 중 그는 기상병으로 일했는데, 날씨를 예측해 비행 허가를 내주는 임무를 맡았다.
그는 이렇게 회상했다:
“2차 세계대전 때 내가 기상병으로 복무했을 때, 상관들은 내게 기상도를 그리는 법과 날씨를 예측하는 방법을 가르쳐주었다. 하지만 실제로 내가 하고 있던 일은 조종사들에게 비행 허가를 내리는 일이었다.
그래서 나는 문제를 거꾸로 생각해보기로 했다. ‘만약 내가 많은 조종사를 죽이고 싶다면, 가장 쉬운 방법은 뭘까?’ 그리고 이렇게 결론을 내렸다. 비행기를 착빙(着氷) 상태로 몰아넣어서 조종을 못하게 하거나, 조종사가 안전히 착륙할 수 있기 전에 연료가 떨어지게 만드는 것, 이 두 가지가 가장 확실한 방법이었다. 그래서 나는 착빙이나 연료 부족으로 조종사를 위험에 빠뜨리는 일은 극구 피해야겠다고 결심했다.”
문제를 반대로 생각한다고 해서 항상 정답이 나오는 건 아니지만, 반드시 피해야 할 오류는 거의 항상 드러난다.
5. 관심을 따르라
멍거는 이렇게 말했다:
“내가 깨달은 또 하나는, 탁월함을 이루려면 반드시 해당 주제에 대해 강렬한 관심을 가져야 한는 것이다.
나는 스스로를 강제하여 적당히 잘하는 수준까지는 성취하게 할 수 있었지만, 강렬한 흥미를 갖지 않는 분야에서 진정으로 탁월하게 될 수는 없었다.”
“Another thing that I found is an intense interest of the subject is indispensable if you are really going to excel. I could force myself to be fairly good in a lot of things, but I couldn’t be really good in anything where I didn’t have an intense interest.”
진정한 실력은 쉽게 오지 않는다. 만약 어떤 분야에서 진지하게 뛰어나고자 한다면, 당신을 사로잡는 분야에서 시작하라.
**
우리 같은 이들이
대단히 똑똑한 사람이 되려고 애쓰는 대신에,
그저 어리석은 사람은 되지 말자고 꾸준히 노력하는 것만으로도
오랫동안 대단한 성과를 거두었다는 점이
놀라운 것이다.
_ 찰리 멍거
**
https://buffettclub.co.kr/article-20230608/
[찰리 멍거 특집 4] ‘격자틀 인식 모형’ 구축하기
격자틀 인식 모형이란 방대한 지식을 차곡차곡 정리해 현실 세계에서 맞닥뜨리는 수많은 시나리오를 판단하는 방법이다. 학교에서 개별적인 지식을 단순하게 잘 암기하던 우등생도 현실에서는
buffettclub.co.kr
'學而 > 토피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반드시 피해야 할 위험한 세 가지 인간성 _ 나르시시즘, 마키아벨리즘, 사이코패시 (4) | 2025.06.30 |
---|---|
과학 연구에서의 ‘생산적 어리석음’의 중요성 (3) | 2025.06.30 |
그의 어리석음은 따를 수가 없다 _ 공자 (0) | 2025.06.29 |
그들의 가난을 왜 우리가 책임져야 하는가? _ 조선시대 공납제와 대동법 (2) | 2025.06.26 |
린 스타트업(Lean Startup) (4) | 2025.06.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