꽃잎 한 장 날려도 봄은 깎여 줄어들고
一片花飛減却春 (일편화비감각춘)
꽃잎 한 장 날려도 봄은 깎여 줄어들고
風飄萬點正愁人 (풍표만점정수인)
바람에 흩날리는 꽃잎들에 시름만 깊어가네
且看欲盡花經眼 (차간욕진화경안)
마음껏 보려 하나 꽃잎은 눈을 스쳐가버리니
莫厭傷多酒入脣 (막염상다주입순)
서러움 많다 말고 입술 속에 술이나 들이세
江上小堂巢翡翠 (강상소당소비취)
강가 작은 정자에 비취새가 둥지 틀고
苑邊高塚臥麒麟 (원변고총와기린)
언덕 가 큰 무덤에 기린 석상 누워있네.
細推物理須行樂 (세추물리수행낙)
세상 이치 일일이 헤아려 즐겨야 마땅하거늘
何用浮名絆此身 (하용부명반차신)
어찌 부질없는 명성에 이 몸을 얽어맬 건가
_ < 두보(杜甫)의 곡강(曲江) 제1수>
**
"꽃잎 한 장 날려도 봄은 깎여 줄어들고"
이 첫 연의 시구가 가 워낙 강렬한 느낌을 주어서 찾아보았다.
봄이 가고 있음을 이토록 감각적으로 표현할 수 있을까.
역시 두보(杜甫)는 가히 시성(詩聖이라 불릴 만하다.
**
<두보(杜甫)>
중국(中國) 당나라(唐--) 때의 시인(詩人)(712~770). 자(字)는 자미(子美). 호(號)는 소릉(少陵)ㆍ공부(工部)ㆍ노두(老杜). 율시(律詩)에 뛰어났으며, 긴밀(緊密)하고 엄격(嚴格)한 구성(構成), 사실적(事實的) 묘사(描寫) 수법(手法) 따위로 인간(人間)의 슬픔을 노래하였다. ‘시성(詩聖)’으로 불리며, 이백(李白)과 함께 중국(中國)의 최고(最高) 시인(詩人)으로 꼽힌다. 작품(作品)에 <북정(北征)>, <병거행(兵車行)> 따위가 있다.
이백(李白, 701~762)과 더불어 중국(中國)의 최고 시인(詩人)으로 일컬어진다. 만년(晚年)에 공부원외랑(工部員外郞)의 관직(官職)을 지냈으므로, 두공부(杜工部)라고 불리기도 한다. 오늘날 전해지는 두보(杜甫) 시는 대략 1,470여 수이다. 그 시를 보면 고난으로 가득 찼던 유량의 시기에 따라 각각 시풍(詩風)의 변화(變化)를 보이고 있는데, 이는 다른 시인(詩人)에게서는 그 예를 찾아보기 드문 일이다. 두보(杜甫) 시는 그의 엄격한 정신을 표현(表現)한 격조 높은 것으로 철저(徹底)하게 사실(事實)을 묘사(描寫)하는 수법(手法)과 엄격한 성률(聲律)에 의해 세상(世上) 일이나 사람의 감정(感情)을 미세하게 그려내고 있다. 두보(杜甫)는 안사의 난 이후 현실주의적(現實主義的) 시풍(詩風)을 전개했다. 나아가 그의 시는 다음 세대인 북송(北宋)의 왕안석(王安石) ㆍ 소식(蘇軾) ㆍ 황정견(黃庭堅) 등에 의해 높이 평가(評價)되어 오늘날까지 여전히 민중을 위한 시인(詩人)으로 널리 존중(尊重)되고 있다. 보통 이백(李白)을 시선(詩仙), 두보(杜甫)를 시성(詩聖)이라고 하며, 흔히 이 두 사람을 이두(李杜)라고 부르고 있으나, 후세(後世) 한시(漢詩) 문학(文學)에 끼친 영향(影響)은 두보(杜甫)가 훨씬 더 크다고 할 수 있다. 그는 백성(百姓)들의 고난, 사회(社會)의 부조리, 충군애국(忠君愛國)과 당시의 현실(現實)을 그대로 시로 읊어, 후세(後世) 사람들이 그의 시를 시로 쓴 역사(歷史), 곧 “시사(詩史)”라고도 부른다. 율시(律詩)와 악부(樂府)시에 더욱 뛰어났다. 그의 시는 웅혼(雄渾)ㆍ침통(沈痛)하여 충후(忠厚)의 정이 가득했다. 저서(著書)에 ≪두공부집(杜工部集)≫이 있다.
'學而 > 토피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헨리 포드와 수리비 1만불 청구서 (3) | 2025.04.27 |
---|---|
좁은 길에서는 한 발 양보하여 _ 채근담 (0) | 2025.04.26 |
다수의 폭정(tyranny of the majority) (5) | 2025.04.24 |
가장 중요한 일을 먼저 하라. 그 다음 중요한 일은 아예 하지 마라! (0) | 2025.04.23 |
CATL의 소듐 이온 배터리 (0) | 2025.04.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