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學而/토피카

완전한 사회주의는 작동가능한 제도인가?

by 변리사 허성원 2025. 4. 11.

<완전한 사회주의는 작동가능한 제도인가?>

스웨덴에서 있었던 일이다.
어느 대학의 경제학 교수가 말했다. 그는 한 번도 시험에서 학생을 낙제시킨 적이 없지만, 단 한 번, 전체 반을 낙제시킨 적이 있다고.

그 반의 학생들은 사회주의가 작동 가능한 제도이며, 가난한 사람도 없고, 부자도 없고, 모두 평등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교수는 말했다.
“좋다, 이 반에서 사회주의 실험을 해보자. 시험 점수를 모두 평균 내서, 모두가 같은 점수를 받게 되는 거다. 그래서 누구도 낙제하지 않고, 누구도 10점 만점을 받지 못하게 될 거다.”

첫 번째 시험이 끝난 후, 학생들의 점수를 모두 더해 학생 수로 나누었고, 모두가 8점을 받았다.
열심히 공부한 학생들은 불만이었지만, 공부 덜 한 학생들은 기뻐했다.
두 번째 시험이 닥쳐오자, 조금 공부하던 학생들은 더 덜 공부했고, 열심히 하던 학생들도 “이럴 바엔 나도 편히 가자”고 생각하여 덜 공부하게 되었다.
그 결과, 평균은 6점.

세 번째 시험에서는 평균이 4점까지 떨어졌다.
결국 모두 낙제했다.

교수는 말했다.
“사회주의는 이렇게 실패한다.
국민 절반이 ‘나는 일 안 해도 되겠네, 남이 해줄 테니’라고 생각하게 되면,
나머지 절반도 ‘왜 내가 일해야 하지?’라고 느끼며 일하지 않게 되고,
그때가 바로 한 나라가 무너지는 순간이다.”


It happened in Sweden.🙋‍♂️
A college economics professor stated that he had never failed an exam, but he once failed an entire group.
That class insisted that socialism is functional and that no one should be poor and no one rich, everyone is EQUAL!
The teacher told them, "OK, we will do an experiment on socialism in this group.
All grades will be averaged, and everyone will get the same grade, so no one will fail and no one will get a 10."
After the first test, the grades were added up and divided by the number of students, and everyone got an 8.
The students who studied intensively were upset, but those who studied less were overjoyed.
As the second test approached, the students who had studied a little learned even less, and those who had studied more intensively told themselves that they also wanted a "handout", so they also studied less. The average of the second test was 6! When the third test was given, the average score was 4. To the great surprise of all the students, they all failed.
It couldn't be a simpler explanation.
The teacher told them that socialism will eventually fail because when half the population sees that they can not work, because the other half will take care of them, and when the half that worked realizes that there is no point in working anymore , because others are the beneficiaries of their labor, then that is the end of any nation...

 

반응형

'學而 > 토피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안톤 체호프의 세 가지 길  (0) 2025.04.12
사도 바오로  (1) 2025.04.11
윤석열 탄핵 결정문  (1) 2025.04.05
[허성원 변리사 칼럼]#191 개밥그릇과 사자 꿈  (0) 2025.03.30
직원들은 왜 회사를 떠나는가?  (1) 2025.03.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