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영과 세상살이/설원(說苑)_유향(劉向)22

정간(券九 正諫)_설원(說苑) _ 유향(劉向) ** 설원(說苑) 정간(正諫)편은 여러 바른 간언(諫言) 사례를 소개하고 있다. 해설은 주로 동양고전 종합 DB에서 가져왔다. ** 諫言을 올리는 것은 신하 된 사람의 큰 책무로, 국가와 임금에게 忠誠을 體現하는 중요한 방법이다. 간언을 올리는 행위를 正諫‧降諫‧忠諫‧戇諫‧諷諫의 다섯으로 나누고 있다. 임금을 향해 諫하는 일은 회피해서는 안 되는 신하의 책무로, 이를 통해 忠誠과 姦佞을 구분할 수 있다. 그러나 進諫하는 사람은 殺身의 위험이 수반되기 때문에 세 번을 간해도 임금이 따르지 않으면 벼슬을 버리고 떠나는 원칙도 세워놓았다. 이 篇에서 임금의 잘못을 諫해야 하는 조목으로, 攻伐‧淫游‧聲色‧玩物‧土木‧賦稅‧濫殺‧違禮 등에 대한 사례를 모아 제시하고 있다. 임금이 간언을 따르지 않다가 초래한 엄중한.. 2022. 8. 4.
존현(券八 尊賢)_설원(說苑) _ 유향(劉向) 존현(券八 尊賢)_설원(說苑) _ 유향(劉向) ** 역문은 동양고전DB에서, 원문은 說苑에서 가져옴. ** 賢士는 국가의 棟樑이기 때문에 하루라도 없어서는 안 된다는 것이 이 篇의 大義이다. 임금으로서 천하를 태평스럽게 다스려 後世에 榮名을 전하고자 하는 사람은 반드시 어진 이를 존경하고 선비를 예우해야 된다고 강조하고 있다. 尊賢에 대한 史料를 많이 뽑아 이를 설명하였다. 대체로 어진 이는 출신이 미천한 경우가 많으니 임금은 사람을 알아보는 眼目으로 출신의 貴賤高下로써 人才를 단정해서는 안 됨을 천명하였다. 어진 이가 중요한 것은 임금의 결함을 메워주어 功業을 이룰 수 있기 때문이다. 또 임금이 어진 이를 대할 적에는 깊이 믿어 의심하지 않고 전력으로 지지해야 하며, 平時에 어진 이를 厚待하여야 급박한.. 2022. 8. 4.
정리(券七 政理)_설원(說苑) _ 유향(劉向) 정리(券七 政理)_설원(說苑) _ 유향(劉向) ** 역문은 동양고전DB에서, 원문은 說苑에서 가져옴. ** 〈政理〉篇은 국가를 다스리는 도리를 闡明한 내용이다. 정치에는 王道와 霸道가 있는데 왕도는 重하고 패도는 輕하다는 思想에서 출발하고 있다. 왕도의 핵심은 仁政과 敎化로써 君子의 德은 바람과 같고 小人의 德은 풀과 같아서 풀 위에 바람이 불면 풀이 쓰러지는 것처럼 교화의 作用을 提高하였다. 한편 패도는 刑法을 중시하고 교화를 輕視하지만 그렇다고 무조건 刑法을 否定하는 것이 아니다. 형법의 重要性을 인정하면서도 다만 先後와 主客의 문제로 보았다. 이는 先王이 德敎를 편 뒤에 刑罰은 부차적으로 사용하여 ‘가르치지 않고 형벌하는 것을 포학이라 한다’는 孔子의 사상과 부합하는 것으로 인식하였다. 국가를 다스.. 2022. 8. 3.
부은(券六 復恩)_설원(說苑) _ 유향(劉向) 부은(券六 復恩)_설원(說苑) _ 유향(劉向) ** 역문은 동양고전DB에서, 원문은 說苑에서 가져옴. ** 이 篇에서 말한 復恩은 임금과 신하, 主人과 奴僕 사이의 관계를 위주로 제시하였다. 신하가 임금의 은혜에 보답하지 않고 자신의 私利만을 도모하는 것은 禍를 초래하는 근원이고, 반대로 임금이 신하의 공로에 보답하지 않고 賞을 주는 것을 꺼리는 것도 혼란을 부르는 기틀이라는 것이다. 그러므로 復恩은 국가의 安定과 盛衰에 미치는 영향이 큰 일이다. 임금이 된 사람은 祿俸을 懸示하여 기다리고, 신하가 된 사람은 자기의 능력을 다하여 그 은혜를 갚아야 君臣은 和協하고 국가는 안정을 이룰 수 있음을 말하였다. 이런 관점에 부합하는 例事를 두루 뽑아 그 결과를 보이고 있다. 또한 남에게 은덕을 베풀지 않을 뿐 .. 2022. 8.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