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영과 세상살이/설원(說苑)_유향(劉向)22

잡언(券十七 雜言)_설원(說苑) _ 유향(劉向) 잡언(券十七 雜言)_설원(說苑) _ 유향(劉向) ** 역문은 동양고전DB에서 가져옴. ** 이 篇의 제목은 雜言이지만 실제 내용은 잡다한 말을 모아놓은 것이라 할 수 없다. 여러 事例들이 있으나 주된 내용은 君子의 品德을 修養하는 데 필수적인 典籍들로 편성되어 있다. 군자는 大體에 힘쓰고 사소한 것은 잊어야 한다는 논리로, 舜‧姜太公‧惠施‧西閭 등의 事例를 열거하여 이를 설명하고 있다. 또한 군자는 困厄을 당하여 매우 어려운 환경에 처하더라도 品行을 바꾸지 않고 본래의 節操를 지키는 것이 진정한 군자의 品格임을 제시하였다. 孔子께서 子路가 盛服 차림으로 자기를 뵌 일로 君子와 小人의 구별을 말씀하였고, 또 자로의 질문을 통하여 “君子는 終身의 즐거움이 있고 하루의 근심이 없으며, 小人은 終身의 근심이 있.. 2022. 8. 7.
담총(券十六 談叢)_설원(說苑) _ 유향(劉向) 담총(券十六 談叢)_설원(說苑) _ 유향(劉向) ** 역문은 동양고전DB에서 가져옴. ** 이 篇은 前篇의 記事 위주에서 記言 위주로 바꾸어 格言을 모아놓았다. 이 〈談叢〉 이전에는 일찍이 이와 같은 格言이나 名人의 名言을 채록해 엮은 書物이 없었다. 여기 선보이는 말들은 治國과 修身에 관한 名言에 重點을 두어 儒家의 學術을 宣揚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談叢〉에서 選集한 名言들은 주로 先秦과 秦漢時代의 많은 著作에 本源을 두고 있다. 이로써 《大戴禮記》, 《六韜》, 《淮南子》, 《呂氏春秋》, 《文子》, 《史記》, 《國語》, 《荀子》, 《老子》, 《周易》, 《論衡》, 《管子》, 《韓非子》, 《孟子》, 《論語》, 《莊子》, 《孔子家語》, 《列子》, 《韓詩外傳》, 《漢書》, 《禮記》 등의 광대한 典籍을 두루.. 2022. 8. 7.
지무(券十五 指武)_설원(說苑) _ 유향(劉向) 지무(券十五 指武)_설원(說苑) _ 유향(劉向) ** 역문은 동양고전DB에서 가져옴. ** 이 篇은 儒家의 戰爭觀과 이를 輯編한 劉向의 戰爭思想을 잘 표현하고 있다. 이런 관점에서 ‘전쟁을 좋아하면 반드시 멸망하고, 전쟁을 잊으면 반드시 위험해진다.’는 두 개의 명제를 근본으로 編述하였다. 전쟁에서의 승리와 패배의 결과를 부르는 중요한 要素를 例事를 통하여 보이고 있다. 예를 들면, ‘① 국토가 넓고 인구가 많으며, 견고한 갑옷과 날카로운 무기가 있고, 용맹한 장수가 있어도 군사들이 친근히 따르지 않으면 승리할 수 없다. ② 內治를 잘하지 못하면 國外의 일을 바르게 할 수 없고 근본적인 은혜가 미치지 않으면 지엽적인 일을 할 수 없다. ③ 전투를 할 때는 자신의 몸과 집 등의 일체를 잊고 전투에 매진하면.. 2022. 8. 6.
지공(券十四 至公)_설원(說苑) _ 유향(劉向) 지공(券十四 至公)_설원(說苑) _ 유향(劉向) ** 역문은 동양고전DB에서 가져옴. ** 本篇은 天下를 다스리는 핵심적인 思想은 至公無私에 있음을 闡明하여 그 중요함을 제시하였다. 역사상 至公思想을 가장 잘 체현한 帝王으로 堯‧舜을 들어 總論에 해당하는 제1장에 배열하였다. 요‧순 이외의 신하로서 至公의 모범이 된 사람은 伊尹과 呂尙을 들었다. 다음에는 季札‧太王‧周公이 행한 至公의 사례를 열거하여 至公의 典範을 보였다. 그런 다음 요‧순과 반대되는 秦 始皇‧齊 景公‧楚 共王 등의 사례를 들어 요‧순의 至公을 부각시키고 있다. 중간에는 孔子의 至公思想을 연이어 3장에 칭송하여 仁聖의 大德을 지녔으면서도 난세에 태어나 용납받지 못한 아쉬움을 드러내었다. 그 이후에는 一心爲國한 申包胥의 至公, 賢明한 人才.. 2022. 8.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