學而/토피카

뇌를 컴퓨터에 연결할 수 있을 때 아이를 낳겠다 _ 알렉산더 왕

변리사 허성원 2025. 7. 8. 19:02

뇌를 컴퓨터에 연결할 수 있을 때 아이를 낳겠다 _ 알렉산더 왕

 

(* 이코노믹타임즈의 포스팅 "'Neuralink babies'? Scale AI’s Alexandr Wang says he is waiting for Elon Musk’s brain chips before having kids"에 기초함.)

‘뉴럴링크 아기’?
Scale AI의 알렉산더 왕, 일론 머스크의 뇌칩이 준비되기 전까지는 아이를 갖지 않겠다고 밝혀

기술 재벌 알렉산더 왕은 뉴럴링크와 같은 뇌칩 기술이 준비될 때까지 아이를 가질 생각이 없다고 말했다. 그는 유년기의 '뇌 가소성(neuroplasticity)'이 초지능(superintelligence)을 습득할 수 있는 최적의 시기라고 믿고 있으며, 아이들이 뇌-컴퓨터 인터페이스를 직관적으로 사용하는 미래를 상상하고 있다. 뉴럴링크는 아직 임상 실험 중이지만, Synchron 같은 다른 회사들도 이 비전을 현실로 만들기 위해 빠르게 기술을 진전시키고 있다.

Scale AI의 창립자인 알렉산더 왕은 기술이 충분히 발전할 때까지 부모가 되기를 미루고 있다고 한다. 단순히 경력이나 개인적인 사정 때문이 아니라, 일론 머스크의 뉴럴링크 같은 기술이 주류가 될 때까지 기다리겠다는 것이다. 그는 자신의 아이들이 뇌-컴퓨터 인터페이스로 ‘강화된’ 첫 세대 인간이 되기를 바라고 있다.

그는 최근 The Shawn Ryan Show에 출연해, 마치 공상과학 소설 속에서 튀어나온 듯한 비전을 공개했다. “뉴럴링크 같은 기술이 준비되면, 그걸 가지고 태어난 아이들은 믿을 수 없을 정도로 놀라운 방식으로 그걸 사용할 수 있을 겁니다.” 왕은 이렇게 말하며, 인간의 뇌가 가장 유연한 첫 7년이 초지능을 통합하기에 가장 이상적인 시기라고 덧붙였다.

일론 머스크가 설립한 뉴럴링크는 현재 동전 크기의 뇌칩 이식을 시험 중이다. 아직 초기 단계지만, 이미 놀라운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 예를 들어, 한 루게릭병(ALS) 환자가 오직 생각만으로 영상 편집을 한 사례도 보고되었다.

하지만 뉴럴링크만이 아니다. 제프 베조스와 빌 게이츠가 후원하는 Synchron은 애플과 협력하여 장애 환자가 뇌 신호로 아이폰을 제어할 수 있도록 돕고 있으며, Motif Neurotech는 우울증 치료용으로 '두뇌 박동기(pacemaker)'처럼 작동하는 신경 자극기를 개발 중이다.

알렉산더 왕은 최근 '메타(Meta)'에서 초지능 프로젝트를 이끄는 새로운 역할도 맡았으며, 이러한 뇌-기계 하이브리드가 단지 의료 기기가 아니라 인간 학습, 인지, 심지어 진화의 미래라고 믿고 있다.

왕의 구상은 과학적으로 잘 입증된 사실에 바탕을 두고 있다. 2009년 Brain Development에 발표된 연구에 따르면, 어린아이의 뇌는 특히 적응력이 뛰어나다. 이는 언어나 상처 회복뿐만 아니라, 왕이 그리는 미래에서는 AI와 함께 또는 AI를 통해 사고하는 법을 배우는 데도 적용될 수 있다.

왕의 생각은 기존 육아 방식에 반하는 매우 급진적인 관점이다. 아이를 스크린이나 기술로부터 보호하려 하기보다는, 그는 아이들이 디지털 환경에 완전히 적응한 상태로 태어나는 미래를 그린다.

윤리, 과학, 그리고 실리콘밸리의 꿈

왕의 생각이 충격적으로 들릴 수 있지만, 이는 실리콘밸리 내 확산 중인 사고방식을 대변한다. 인간의 한계는 기술로 극복할 수 있는 문제라는 시각이다. 그러나 AI 강화 자녀에 대한 왕의 계획과 달리, 뉴럴링크 및 유사 기술들에 대한 윤리적 문제는 여전히 존재한다. 장기적인 뇌 건강, 동의, 사생활, 인간과 기계 사이의 경계 등 복잡한 이슈가 도사리고 있다.

하지만 인류가 ‘포스트휴먼(post-human)’ 시대로 향하고 있는 지금, 왕의 주장은 단순한 도발이 아닌 예언처럼 들리기도 한다. 이제 질문은 “뉴럴링크 아기가 가능하냐”가 아니라, **“누가 첫 번째로 그것을 시도할 용기가 있는가”**다. 그리고 왕은, 소프트웨어만 준비된다면, 세상 첫 AI-네이티브 아이를 기를 준비가 되어 있는 듯하다.

미래는 이미 시작되었다

왕의 비전은 먼 미래처럼 들릴 수 있지만, 뉴럴링크는 이미 전진 중이다. 2024년 1월, 일론 머스크는 뇌-컴퓨터 인터페이스를 인간에게 성공적으로 이식했다고 발표했고, 환자는 양호하게 회복 중이다.

2024년 9월에는 시각을 잃은 사람을 위한 ‘블라인드사이트(Blindsight)’ 기술도 공개되었다. 이는 기능적 시각 피질을 이용해 시력을 복원하는 기술이며, 미국 정부로부터 혁신적 치료 기술로 인정받아 개발이 가속되고 있다.

동물 실험에서 나타난 합병증에 대한 우려도 여전히 존재하지만, 뉴럴링크의 빠른 진전은 왕이 꿈꾸는 AI-원주민 세대의 탄생을 현실로 바짝 당기고 있다.

*
‘crazy하다’는 비판

  • 현실과의 괴리
    아직 뇌-AI 인터페이스는 임상시험 단계에 머물러 있고, 대중적 상용화까지는 기술적·윤리적 장벽이 높다. 이런 상황에서 자녀 계획을 기술 발전에 연계하는 발언은 과도하게 미래지향적이고, 현실과 동떨어진 ‘급진적’ 사고로 받아들여질 수 있다.
  • 윤리적·사회적 우려
    뇌 신호 해킹, 프라이버시 침해, 인간 자율성 훼손 등 심각한 윤리적 문제가 논의되는 상황에서, 기술 낙관주의적 입장은 ‘위험을 무시한다’는 비판을 받을 수 있다.
  • 공감대 부족
    많은 이들에게 뇌-컴퓨터 인터페이스는 여전히 생소하고, 인간의 뇌에 칩을 삽입한다는 발상 자체가 불안감과 거부감을 유발합니다. 따라서 왕의 발언은 ‘crazy하다’는 반응을 쉽게 불러일으킬 수 있다.

비판에 대한 반론과 맥락

  • 테크 리더들의 ‘미래 예측’ 전통
    실리콘밸리 및 AI 업계에서는 미래 기술이 사회 구조를 완전히 바꿀 것이라는 급진적 예측이 자주 등장한다. 일론 머스크, 레이 커즈와일 등도 비슷한 논란을 겪어왔다.
  • 사회적 논의 촉진 효과
    왕의 발언은 논란을 넘어, 뇌-AI 인터페이스의 잠재력과 윤리 문제에 대한 사회적 토론을 촉진하는 계기가 될 수 있다. 급진적이지만, 미래 기술의 방향성과 위험성을 동시에 환기하는 역할을 한다는 평가도 있다.

결론

알렉산더 왕의 입장은 분명히 급진적이며, 대중적으로는 ‘crazy하다’는 비판을 피하기 어렵다. 하지만 그의 발언은 단순한 개인적 신념을 넘어, 미래 기술과 인간의 관계, 사회적·윤리적 과제에 대한 중요한 질문을 던지고습니다. 이런 논쟁 자체가 기술 발전의 건강한 방향성을 모색하는 데 의미 있는 역할을 할 수 있다.

 

'Neuralink babies'? Scale AI’s Alexandr Wang says he is waiting for Elon Musk’s brain chips before having kids

Tech mogul Alexandr Wang says he wont have kids until brain chips like Neuralink are ready. Believing childhood neuroplasticity offers the best window for adopting superintelligence, Wang envisions a future where children learn to use brain-computer interf

economictimes.indiatimes.com

**
<알렉산더 왕이 말하는 ‘초지능 뇌 이식’의 전망>

1. 알렉산더 왕의 비전

  • 알렉산더 왕은 뇌-컴퓨터 인터페이스(BCI), 특히 일론 머스크의 뉴럴링크(Neuralink)와 같은 기술이 상용화되어야만 진정한 의미의 ‘초지능’을 인간 뇌에 심을 수 있다고 본다.
  • 그는 “뉴럴링크와 같은 기술이 보편화되면, 어린 시절부터 이를 이식받은 아이들은 기존과는 완전히 다른 방식으로 초지능을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한다123.

2. 구체적 시기 전망

  • 2025년 현재 뉴럴링크와 주요 BCI 기술은 아직 임상시험 단계에 머물러 있다. 실제로 뉴럴링크 칩은 현재까지 3명의 환자에게 이식되었고, 이들은 생각만으로 컴퓨터 커서 이동, 게임 플레이 등 제한적 기능을 구현하고 있다34.
  • 왕은 “이런 기술이 일상적으로 아이들에게 적용되는 시점”을 ‘초지능 이식’의 시작으로 본다. 다수의 업계 전문가와 언론 보도에 따르면, 상용화 및 대중적 적용은 2030년대 중후반에나 가능할 것으로 전망된다4.
  • 경쟁사인 Synchron, Motif Neurotech 등도 빠르게 기술을 발전시키고 있으나, 윤리·안전성·규제 등 해결해야 할 과제가 많아, 최소 10년 이상의 시간이 더 필요하다는 시각이 우세하다.

3. 왕의 입장 요약

  • “나는 뉴럴링크와 같은 BCI 기술이 아이들에게 보편적으로 적용될 수 있을 때까지 자녀를 갖지 않겠다”는 발언에서 알 수 있듯, 그는 기술의 완전한 상용화와 사회적 수용이 이루어진 시점을 ‘초지능 이식’의 현실적 시기로 보고 있다123.
  • 즉, 2030년대 후반~2040년대 초반에야 진정한 ‘초지능 뇌 이식’ 시대가 도래할 것이라는 게 알렉산더 왕의 현실적 전망이다.

4. 참고: 현재 기술 수준과 과제

  • 뉴럴링크 등은 아직 임상시험 중이며, 장기 안전성, 신호 안정성, 윤리·법적 문제 등 해결 과제가 산적해 있다345.
  • 완전한 초지능 구현을 위해서는 AI, 뇌과학, 신경공학, 윤리 규범의 동시 발전이 필수적이다.

**
<뇌-AI 인터페이스 발전이 가져올 사회 변화와 윤리적 쟁점>

1. 사회 변화

  • 의료 혁신과 장애 극복
    • 뇌-AI 인터페이스(BCI)는 신체적 장애를 가진 이들이 생각만으로 기기를 제어하거나 의사소통할 수 있게 하여, 장애와 비장애의 경계를 허무는 포용적 사회로 변화시킬 가능성이 높다12.
    • 신경 질환 치료, 신경 재활, 인지 기능 복원 등 의료 분야에서 혁신적인 도구로 활용될 전망이다34.
  • 교육과 학습의 패러다임 변화
    • 학생들은 뇌파를 통한 실시간 피드백으로 맞춤형 학습이 가능해지고, 학습 효율성이 극대화될 수 있다1.
    • 직관적이고 자연스러운 디지털 환경과의 상호작용으로 기존 교육 방식을 뛰어넘는 새로운 학습 경험이 등장할 수 있다3.
  • 인간-기계 융합과 인지 능력 확장
    • 뇌-AI 인터페이스는 인간의 자연신경망과 인공지능 신경망이 결합되어, 인간의 인지 능력 자체를 확장하는 ‘인지 증강’ 현상을 촉진할 수 있다56.
    • 생각만으로 인터넷 검색, 기기 제어, 가상현실(VR)·메타버스 내 아바타 조작 등 초고속 정보 접근과 새로운 소통 방식이 가능해진다27.
  • 산업 및 일상생활의 변화
    • 게임, 엔터테인먼트, 군사, 산업 자동화 등 다양한 분야에서 뇌-AI 인터페이스 활용이 확대될 전망이다48.
    • 노인이나 사회적 고립 계층의 사회적 상호작용 촉진 등 복지 측면에서도 긍정적 변화를 기대할 수 있다7.

2. 윤리적 문제

  • 개인정보와 사생활 침해
    • 뇌 신호를 통해 개인의 생각, 감정, 의도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어, 사생활 침해와 데이터 유출 위험이 매우 크다94.
    • 해킹 등 악의적 접근 시, 기억 조작이나 의도하지 않은 행동 유발 등 심각한 피해가 발생할 수 있다910.
  • 자율성과 인간 존엄성의 위협
    • 외부 시스템이 인간의 뇌를 해석·조작할 수 있게 되면, 인간의 자유 의지와 자율성이 훼손될 수 있다911.
    • 기술이 인간을 기계의 일부로 전락시키지 않도록, 인간 존엄성 보장이 필수적이다9.
  • 책임과 법적 문제
    • BCI를 통한 행동이 사용자의 자율적 결정인지, 아니면 외부의 영향인지 구분이 어려워지면, 행위 책임과 법적 판단에 혼란이 생길 수 있다1112.
    • 의료적 개입 시, 장기적 부작용과 비가역적 변화에 대한 책임 소재도 명확히 해야 한다10.
  • 사회적 불평등과 접근성
    • 기술 접근성에 따라 사회적 불평등이 심화될 수 있으며, 경제적·사회적 약자가 소외될 위험이 있다9.
    • 기술 남용, 강제적 이식, 동의 없는 데이터 수집 등 인권 침해 우려도 존재한다1112.

3. 결론

뇌-AI 인터페이스는 인간과 기계의 경계를 허물며, 의료·교육·산업 등 다양한 분야에서 혁신적 변화를 이끌 전망이다. 하지만 개인정보, 자율성, 법적 책임, 사회적 불평등 등 복합적인 윤리적 문제를 반드시 해결해야 하며, 이를 위한 법적·윤리적 기준과 사회적 합의가 필수적이다91110.

**
<팟캐스트>

https://www.podbbang.com/channels/1792510/episodes/25157108?ucode=L-JCCOyQkB

 

[AI] 뇌에 컴퓨터에 연결할 수 있을 때 아이를 낳겠다 _ 알렉산더 왕

<뇌에 컴퓨터에 연결할 수 있을 때 아이를 낳겠다 _ 알렉산더 왕> 최근 메타에 영입된 기술 재벌 알렉산더 왕은 뉴럴링크와 같은 뇌칩 기술이 준비될 때까지 아이를 가질 생각이 없다고 말했다.

www.podbba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