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백한 푸른 점(Pale Blue Dot) _ 보이저1호의 지구 사진
창백한 푸른 점(Pale Blue Dot) _ 보이저1호의 지구 사진
“Pale Blue Dot(창백한 푸른 점)”은 보이저 1호가 찍은 사진 속을 지구를 가리킨다.
이 사진은 1990년 2월 14일, 보이저 1호가 태양으로부터 약 64억km(37억 마일) 떨어진 거리에서 촬영한 것으로,
광대한 우주 속에서 지구가 한 점의 푸른 빛으로 보이는 장면을 담고 있다.
1994년 칼 세이건은 그의 저서 "창백한 푸른 점"('Pale Blue Dot: A Vision of the Human Future in Space')에서, 다음과 같이 말했다.
"저 점을 다시 바라보세요.
저것이 바로 여기, 우리의 집, 우리 자신입니다.
여러분이 사랑하는 모든 사람,
여러분이 알고 있는 모든 사람,
한 번이라도 들어본 적 있는 모든 사람,
인류 역사상 존재했던 모든 사람이
저 점 위에서 그들의 삶을 살아왔습니다.
... 지구는 광막한 우주 무대에서 아주 작은 무대에 불과합니다."
(“Look again at that dot. That's here. That's home. That's us. On it everyone you love, everyone you know, everyone you ever heard of, every human being who ever was, lived out their lives. ... The Earth is a very small stage in a vast cosmic arena")
**
"저 점을 다시 바라보세요.
저것이 바로 여기, 우리의 집, 우리 자신입니다.
여러분이 사랑하는 모든 사람, 여러분이 알고 있는 모든 사람,
한 번이라도 들어본 적 있는 모든 사람, 인류 역사상 존재했던 모든 사람이
저 점 위에서 그들의 삶을 살아왔습니다.
우리의 모든 기쁨과 고통, 수천 가지의 확신에 찬 종교, 온갖 이데올로기 및 경제 이론,
모든 사냥꾼과 채집인, 모든 영웅과 겁쟁이, 문명의 창조자와 파괴자, 모든 왕과 무지랭이, 사랑에 빠진 젊은 연인들,
모든 어머니와 아버지, 모든 희망에 부푼 아이들, 모든 발명가와 탐험가, 모든 도덕 교사, 모든 부패 정치인,
모든 '슈퍼스타', 모든 '최고 지도자', 모든 성인과 죄인 등,
우리 인류의 역사 속에 있는 그 모든 이들이
태양빛 속에 떠 있는 저 작은 한 점의 먼지 위에서 살았습니다.
지구는 거대한 우주 공간 속의 아주 작은 무대일 뿐입니다.
수많은 장군과 황제들의 영광과 승리를 위해 흘린 피의 강을 떠올려 보십시오.
그들도 결국 먼지 한 점을 잠시 지배했을 뿐입니다.
생각해보세요.
우리의 이 조그만 픽셀 한 귀퉁이에 사는 사람들에 의해
거의 구분되지 않는 다른 귀퉁이에 사는 사람들에게 가해지는,
끝없는 잔혹함, 수많은 오해, 서로를 죽이려는 간절함, 극도의 증오를..
우리의 자만, 과대망상, 우주에서 특별한 지위에 있다는 착각은
이 창백한 푸른 점 앞에서 도전받습니다.
우리는 끝없이 펼쳐진 어둠의 우주 속에 있는 외로운 티끌일 뿐이며,
이 광막한 어둠 속에서, 우리가 스스로를 구하지 않는다면,
바깥에서 누군가가 우리를 구해주러 올 기미는 전혀 없습니다.
지구는 생명을 품은 유일한 행성입니다.
우리 종이 이주할 수 있는 다른 장소는 없습니다. 적어도 가까운 미래에는 말입니다.
방문은 가능할지 몰라도, 정착하는 것은 아직 불가능합니다.
좋든 싫든, 지금 이 순간 우리가 살 수 있는 곳은 이 지구뿐입니다.
그래서 천문학은 겸손과 인격을 기르는 경험이라고 합니다.
이 작은 점의 그림만큼 인간의 어리석음을 일깨워주는 건 없습니다.
내게 이 이미지는 우리가 서로에게 더 친절하여야 할 책임이 있음을 상기시켜 줍니다.
그리고 이 창백한 푸른 점, 우리가 알고 있는 유일한 집을 소중히 지켜야 한다는 사실도 말입니다.”
**
<보이저 1호(Voyager 1)
인류가 만든 물체 중 가장 멀리 떨어진 곳에 도달한 탐사선이다. 가히 우주 탐사의 전설이라 할 만하다.
1977년 9월 5일에 미국 NASA의 제트추진연구소(JPL)에 의해 발사되었다.
임무는 외행성(목성, 토성)을 탐사한 후 성간 우주 탐사를 이어나가는 것.
1979년에 목성을 탐사하여 거대한 폭풍 '대적점'의 고해상도 사진 전송하였고, 이오(Io) 위성에서 화산 활동 최초 발견함으로써, 외계 천체의 활화산 첫 발견하였다.
1980년에 토성 탐사을 탐사하였다. 토성의 고리 구조 상세 분석하고, 타이탄(Titan)의 대기 구성을 탐사하였다.
이어서 성간 우주로의 항해하여,
2012년, 태양권(heliosphere)의 경계를 넘어, 성간 우주에 진입한 최초의 인공 물체가 되었다.
현재 지구로부터 약 240억 km 이상 떨어진 곳을 항해 중이며, 여전히 신호를 보내고 있다.
2023~2024년 사이에 통신 오류가 있었으나, 일부 복구되었다.
보이저 1호에는 지구 문명을 외계 생명체에게 소개하는 ‘황금 레코드’가 탑재되어 있다.
이는 55개 언어로 된 인사말, 바흐, 베토벤, 전통 민속 음악 등, 지구의 자연소리, 아기 울음소리, 파도 소리, 인간과 동식물 사진, DNA 구조도, 유엔 사무총장과 미국 대통령의 메시지가 실려있다.
이는 우주를 향한 인류의 인사이자 철학적 유산이라 할 수 있다.